4주차 나에게 맞는 투자지역 선정하는 방법 강의 후기

4주차는 주우이님의

나에게 맞는 투자지역 선정하는 방법 강의!

 

크게는 

나에게 맞는 수도권 투자 찾는 법

더 나은 투자를 위한 의사결정

지방에서 투자 물건을 찾는 법과 종잣돈별 투자처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입지 좋은 구축 vs 입지 덜 좋은 신축

 

항상 나도 물건을 볼 때 고민이 됐던 부분이었다.

입지가 좋은데 90년대식이고

입지가 조금 떨어지지만 2010년대인 곳.

 

주우이님의 조언은

아파트 가격은 결국 건물가격 + 토지가격이기에

시간이 지날 수록 건물의 가격은 하락할 것이고

입지가 좋은 곳의 토지 가격은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점이다.

 

투자 이후 여윳돈이 있는 사람이라면

입지 좋은 구축에 돈을 묵혀놔도 되고

투자 후 상승분으로 또 다른 투자를 해야 한다면

신축을 투자해야 된다.

 

공급을 볼 때 확인해야 할 3가지

 

1) 투자 시 전세셋팅이 안정적인지

2)2년 뒤 전세 갱신할 때 역전세 위험 확인

3)재계약 시점에 2년 뒤 공급 확인하여 리스크 확인

 

공부하기 전에는 신축만이 공급이 아니고

기존에 오래된 아파트들도 공급에 끼는 게 아닌가 생각할 정도로

공급에 대해 무지했고 

그것의 중요성을 놓쳤던 것 같다.

 

역전세는 내가 어떤 물건을 투자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고려해야 될 부분이다.

 

현재 내가 보유하고 있는 돈이 3억이라면

역전세를 우려해 2.0~2.5억 사이의 물건을

투자해야 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급이 많아 질 우려가 있는 곳이면

역전세가 날 것을 미리 예상하고 투자를 생각해야된다.

 

마무리하며, 나의 부동산 투자계획

 

<3월>

 

투자 목표 정하기

→ 투자자산 고정 및 투자 가능한 물건 필터링

→ 구역 별 투자가능한 단지 엑셀 전체 정리(하루에 최소 2시간 투자)

→ 순서 정해서 임장 계획 세우기

 

독서 꾸준히 하기

→ 급하게 읽었던 4권의 책(월부은,원씽,몰입,그릿)을

1달 간격으로 딥하게 완독하기

→ 정량적으로 전자책 기준 매주 몇% 읽을지 정하기

*4주 기준, 3월부터 한권당 일주일에 20%이상 읽기

 

<4월>

 

시세트래킹 틀 짜기

→ 구역별 투자 가능한 단지 + @(가치가 있는 곳 등)

시세트래킹 틀 만들고 격주로 업데이트 하기

 

임장가기

→ 일주일 단위로 몇개씩 볼지 정하기

→ 4월 이내로 수도권 지역 한정 임장 마치기

 

<5월>

 

투자 매물 찾기 

→ 추려진 물건 중에 매물로 나와있는 것 비교평가

→ 저환수원리에 맞는지 계속해서 재검토

→ 모든 조건에 맞다면 투자 도전(무리해서 투자하지 않는 것 유념)

 


댓글


똑구리user-level-chip
25. 03. 03. 16:11

완강 후 빠른 수강후기까지 완벽하십니다! 3개월 계획 화이팅 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