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먼저 D지역은 제가 임장하고 있는 지역이라 너무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는 투자자로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와
시세트래킹 하는 방법에 관한 것들이었습니다.
D지역은 공급 폭탄 예정 지역으로 투자로 어떻게 봐야할지 저도 이 부분이 가장 궁금했었는데요.
망구 튜터님께서 명쾌한 해답을 주셨습니다 ^^
“공급이 많아 앞으로 어떻게 될지가 궁금하다면 현재와 비슷한 시기에 (예전 입주가 많았던 시기에) 단지들이 얼만큼 빠졌는지를 확인하면 가늠해 볼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정량적으로 리스크를 계산해 볼 수 있고,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생각해서 투자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리스크가 크면 그만큼 기대수익도 큰 투자를 해야하고,
투자단지 선정 시 기준을 더 높여서 볼 필요가 있다는 말씀! 명심하며
공급이 많다고 무조건 피할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감당할 만큼의 높은 기대수익을 주는 단지가 있는지를 찾아보고
리스크 대비 또한 보수적으로 가능한지 판단해보는 연습을 해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공급이 많은 지역에선 투자자로서 또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까요?
"공급이 많으니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지~" 라고 생각하고 끝낼게 아니라
전세물량이 언제, 얼마나 빨리 소진되는지, 이때 가격은 어떡게 변화 되는지에 대해 계속 트래킹을 해야 합니다.
앞으로도 공급이 많은 지역은 수시로 만나게 될텐데,
이번 임장지를 통해 공급이 많은 지역은 어떤 모습으로 진행돼는지를 공부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며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
두번째로 시세트래킹을 꼭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관해 이번 강의에서 제대로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강의를 듣기 전까지 시세트래킹이란 투자할 단지를 선정해놓고 그 단지들의 가격만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 인줄 알았는데요 ^^;
그게 아니라 그 지역의 대표단지들을 추적 관찰함으로써 그 지역의 분위기와 가격 흐름을
다른 어떤 지표들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는 것!! 이
시세트래킹을 하는 진짜 이유란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시세트래킹을 하지 않으면 힘들게 앞마당으로 만들어 놓은 것도
투자로 연결짓지 못해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는 말씀에 많은 공감이 되었습니다.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을 너무 잘 알게 되었고, 당장 시작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ㅎㅎ
시세트래킹은 어떡게 하는 것인지, 어떤 단지들을 선택해야 하는지...
가격대가 비싼 지역과 저렴한 지역으로 구분해서 자세히 알려주신 망구님..!
앞으로 앞마당을 늘려나갈 저에게 너무 너무 꼭 필요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BM
항상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계산해보고 투자 의사결정 내리기.
임보 마지막에 시세트레킹 단지 선정해서 마무리하기.
시세트레킹 최소 한달에 한번씩.
시세트레킹 하다 투자가능성이 높아 보이면 그 지역전체 살펴보기.
한달전의 나와 비교하면서 한달전보다는 나아지자는 마인드로 매달을 보내기.
힘들때는 내가 가진 것을 떠올리고 나의 원씽을 떠올리고 행복버튼을 이용해 이겨내자.
댓글
액션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