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똘똘한 채 : 입지 독점성+선호도 있는 단지
  2. 입지 독점성 : 상급지 일수록 교통/직장/환경 등 선호하는 입지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비싸다.
  3. 선호도 : 연식이 좋거나 가치가 있는 단지
  4.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가성비 단지를 찾는 것이다.
  5. 모두를 만족하는 단지는 1급지에 가서 찾으면 된다. 투자금이 많다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6. 나의 투자금에 맞는 가치있는 단지를 찾아보자.
  7. 그런면에서 지금이 투자하기 좋다고 생각한다. 매매가는 하락할 수 있는 규제들이 있고, 대외 경제가 좋지 않아

    매매가는 전고점을 돌파하기 어렵다.(일부 제외) 사람들이 심리가 지금 집을 사기보다는 전세에 대한 수요가 

    많다. 그렇기에 전세가는 상승하고 매매가는 하락하여 투자금이 줄어든 시기이다. 

  8. 내가 지향하는 가치성장투자 기반은 조성됐다.
  9. 서울과 수도권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10. 입지는 1~5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가. 1급지 : 서초/강남/송파/용산(4개)

    나. 2급지 : 양천/마포/성동/광진(4개)

    다. 3급지 : 영등포/동작구/강서구/중구/종로구(5개)

    라. 4급지 : 서대문/동대문/강서구/관안구/성북구(5개)

    마. 5급지 : 은평/구로/금천/강북/도봉/노원/중량(7개)

  11. 상급지 구축 vs 하급지 대장(신축)

     가. 조건 : 같은 투자금이라면

     나. 투자금이 여유 있다면 → 상급지 구축을 선택(전세금 상승폭이 작지만, 장기 보유 시 매매 차이기 더 크다)

     다. 투자금이 적다면→ 하급지 신축 선택(전세금 상승폭 큼, 매매 상승폭은 상대적으로 적음)

     라. 가치 있는 단지라면 모두 투자 가능하다. 다만 개인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면 된다.

     마. 난 가치있는 하급지 신축을 해서 전세금 상승분을 쌈지돈으로 2호기 투자를 하고 싶다.

12. 경기도 투자는 강남 접근 1시간 이내 지역은 의미 있는 투자처이다. 

      →과천/분당/구성남/안양/수지/구리/하남

13. 경기도 가치성장 투자 : 투자금이 많이 들더라도 싸게 매수할 수 있다면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이다. 

14. 가치 성장 투자 프로세스

    (1단계) 투자 기준 수립 : 300세대 이상&강남 1시간 이내 접근, 1~4급지 신축 및 구축

    (2단계) 가치 판단 : 강남 1시간 이내 접근+상급지 구축 까지 or  하급지 신축

    (3단계) 가치 대비 저평가 : 전고점 대비 15%~20%

15. 직장인 투자자로 나아가기 위한 프로세스 

   가. 서울 앞마당 1개/월 이상 습득

   나. 2025년 똘똘한 1채 매수

   다. 투자금 모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무리하게 투자하지 않는다. 

16. 투자 4분면 검토

   (1사분면) 연식/입지+ : 입지 좋은 신축 →전세가 높고 상승폭이 큼→전세상승분으로 재투자 가능

   (2사분면) 연식+/입지- : 입지 덜 좋은 신축

   (3사분면) 입지+연식+

   (4사분면) 입지-연식-

17 투자 의사결정 : 가치>저평가(가격)> 전세 세팅 가능성 확인

18 선호도 평가

   가.  상승 시작점 비교

   나.  전고점


댓글


사람입니다
25. 03. 08. 05:49

경제적해자님 1강 완강 축하드립니다! 곧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