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을 위해 달려가는 투자자 쏭파고입니다.
드디어! 열반스쿨 실전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두둥! 😆
‘실전반의 강의는 과연 무엇이 다를까~?’ 라는 기대로 수강을 하였는데,
오히려 기본기를 더욱 더 강조하는 느낌이 특별했던 강의였습니다.
특히, 말로만 듣던 마스터님.. 😎 화면으로나마 처음 뵐 수 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그동안 배웠던 내용들에 대해 교통정리를 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Part 0. 들어가기에 앞서
① 왜 실전반인가?
- 어렵게 얻은 기회를 통해 실전반을 수강하는데, 그 의미와 활용법에 대해 먼저 이해를 해야했습니다.
📌 “이론 강의는 기본 + 현장(임장, 임보)활동 심화 + PT와 같은 튜터링” 이 세 가지를 통해,
실전 투자자에게 요구되는 수준으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② 강의를 통해 내가 습득해야 하는 것 (목적의식!)
- 수도권 투자를 통해 내 자산을 불릴 수 있는 투자의 기준
- 수도권 투자 전략을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행동에 옮기기
- 수도권 투자자로서 로드맵을 알고, 확실한 방향성 설정하기!
Part 1. 현재 수도권 시장 진단
① 서울의 상/하급지가 양극화된 시장
📌 이럴 때일수록 지역을 퉁쳐서보면 안되고, 하나의 기사만 보고 전체를 판단하면 안되겠다고 느꼈습니다.
② 심리, 가격, 수요와공급을 통해 수도권 시장을 진단하고 알아갈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사람들의 심리는 거래량을 통해 나타나고, 지금처럼 거래량이 적을 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 생각했습니다.
이를 통해 가격을 내가 만들 수 있다라는 관점을 새롭게 보게 되었습니다.
📌 서울의 4, 5급지는 매매상승폭보다 전세상승폭이 크기 때문에 투자 수요보다는 실수요가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를 통해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기회를 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서울의 향후 공급의 역사적으로도 전례가 없을 정도로 없는 수준이라, 소중한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
그리고 경험이 그치지 않고 어떻게든 이 기회를 살려봐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Part 2. 수도권 투자 기준
① 싸다고(저평가)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셨습니다.
📌 이 기준은 어디까지나 가이드이고, 개별 상황과 단지별로 최종 판단을 내려야겠습니다.
📌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기준은 지키되, 너무 재지만 말고 할 수 있는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여러 투자 기준 중에서도 동일한 비중으로 볼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조금 더 중요시해야 하는 기준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커뮤니티 연식은 직장+교통에 비해서는 후순위)
② 수도권 투자 보유기간 설정
📌 투자하려는 단지가 어느 정도의 가치(지역의 급지 등)에 따라,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단기보유 혹은 장기보유)에 대한 전략도 고민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즉, 단기 보유 후 팔아서 종잣돈을 모을 목적인지, 장기적으로 보유해야할 자산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Part 3. 가치성장투자 vs 소액투자
①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에 대한 설명과 지역, 리스크에 대해 강의해주셨습니다.
📌 내가 하려는 투자가 (혹은 나에게 적합한 투자가) 가치성장투자인지 소액투자인지에 따라 물건을 운영하는 전략에 달라짐을 알게 되었습니다.
📌 특히 ‘소액 투자 대비 고생 덜하고 좋은거 그냥 사두면 괜찮겠지’하는 마음으로는 가치성장투자를 하지 말라는 내용에 나도 모르게 뜨끔했습니다. 😭
📌 소액투자를 위해서는 앞마당을 꾸준히 늘리고, 시세트래킹을 통해 꾸준한 관리를 하여 수익률이 높은 투자 물건을 선정하는데에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Part 4. 투자하는 직장인 vs 직장인 투자자
① 실전반에 올 정도면 이제는 두 로드맵 중 어디에 탑승할 것인지 확실히 매듭을 지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실전반 중일 때는 직장인투자자가 됐다가, 강의가 끝나면 다시 투자하는 직장인으로…😆)
② 개인적 상황에 따라 적합한 로드맵이 있음을 잘 가르마타주셨습니다.
③ 그리고 전문 투자자(직장인 투자자)가 되지 않는다고 투자에세 지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셨습니다.
📌둘 중에 무엇이 되었든, 내가 원하는 바와 내가 하고 있는 것에 Gap이 생기면 안되겠습니다.
📌과연 내가 목표로 하는 상황에 부합하는 행동으로 시간을 채우고 있는지 뒤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최근 몇 개월간은 전혀 그러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반성합니다. 😭)
Part 5. 포트폴리오 구성시 놓치기 쉬운 것
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고민들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마지막 강의에 선물처럼 딱!)
📌더 좋은데 가격이 싼 투자처가 있어야 함! → 즉, 대안이 있는가?
📌비과세, 취득세가 매도 결정의 본질은 아님 → 세금 몇 푼 의미 부여하지 말자!
📌더 빨리 오를 것 같은 기대감으로 지역이나 단지를 바꾸어선 안됨! → 단순 기대감인지, 과거와 현재를 분석 후 어느 정도 예측한 미래인지를 잘 판단해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