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하신 답변들 언제나 감사드려요^^
궁금한 몇가지 질문은
제가 부모님과 함께 거주중이고, 이번 5월에 갭투자를 하면서 집을 매수하고 몇 개월안에 전세나 월세로 나갈 예정인데요.. 이 상황도 1가구 2주택에 해당될까요? 고려해야 부분이 뭘까요?
그리고 6월에 재산세가 있어서 6월후에 매수하는게 좋을까요?^^; (이쪽에 아예 지식이 없어서요ㅠㅠ)
매물 임장을 하려고 네이버 보다보면 한곳은 10-20개 가까운 부동산에서 올리 셨더라구요
급하게 파시려는 매물로 보면 될까요?
제가 본 한단지는 지하철과 가까운곳 동과 또 길하나를 건너서 엘베까지 타야하는 동이(걸어서 10분정도)
5천-1억 정도 차이가 나더라구요..확실히 거리가 차이가 나던데 그럴때는 한 단지라도 지하철과 가까운쪽에 비싼동의 매물을 보는게 좋을까요?
4. 전수조사와 시세따기는 다른 개념일까요?
5. 뉴타운이라 단지들이 몰려있는데 그 곳에 있는 여러단지가(거의 비슷한 연식과 조건) 매물수는 비슷한데 한 단지는 전세가 많이 없는곳이 있어서요..그럼 투자하는데 유리한 단지로 봐도 될까요?
6. 저번주에 매물 임장을 처음 갔는데 집수리 기준을 어느정로로 잡아야할지 궁금하더라구요ㅜㅜ 부동산 사장님은 제가 보긴엔 수리가 필요할듯한데 그 정도로 해도 집이 나간다고 하셔서요…
7. 투자금에 들어오는 아파트가 있는데 전세 매물이 2000세대에 250개나 나와있는데요..
전세를 빼려면 쉽지 않은 상황이 맞죠? 매물 임장을 해야하나 고민되네요ㅜㅜ
8. 네이버 부동산에 메인화면에 매매, 전세와 더보기로 들어가서의 매매, 전세수가 다른데 어떻게 맞는걸까요?(첨부파일 참고 부탁드려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IMG_5741.jpg
댓글
BEST | 안녕하세요 DCT님! :) 질문해주셔서 감사해요~ 우선 질문1번의 경우 집을 매수하시고 분리를 하실 예정이시라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아요. 부모님집 한채, 그리고 DCT님의 집이 한채라면 1가구2주택이 되고, 이후 추가 투자를 이어나가게 되시면 다주택으로 분류되어 3주택부터 취득세 중과가 된다거나 혹은 부모님께서 주택을 매도하실경우 1가구1주택 비과세를 못받는 등 다양한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DCT님께서 앞으로 투자를 이어나가실 예정이시라면 세대분리를 추천드립니다^^ 질문2번은 아무래도 부동산에 많이 내놓았다는건 급한 매물일 가능성이 클 수 있습니다^^ 나와있는 부동산들에 몇군데 전화를 걸어서 매도자분이 급하신건지, 언제까지 잔금을 해드려야하는것인지, 세금문제, 금전적인 문제, 상속문제 등 다양한 매도사유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잘 알아보셔서 협상 포인트로 가져가시면 좋습니다! 3.이 경우 부동산 사장님과 매물임장을 하거나 혹은 전화를 통해서 보통 이렇게 시세가 많이 차이나는것이 일반적인건지, 아니면 지금 더 많이 벌어져 있는 것인지 + 전세가도 매매가의 차이만큼 차이가 나는건지 등을 함께 파악해서 적정 가격차이인지 등을 다양한 부동산사장님의 말씀을 들어보고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비선호동일지라도 전세가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어서 오히려 이런경우 투자금을 줄여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실수도 있습니다. 4.전수조사와 시세따기는 같은개념입니다ㅎㅎ 5.단지들이 몰려있는데 다른 옆단지에 매물이 많이 나와있다면 같이 경쟁매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단지의 전세상황(금액, 물량)까지 함께 파악하셔야 합니다^^ 그 단지에 전세매물이 나와있지 않더라도 세입자분들은 주변을 다 둘러보고 결정을 하시기 때문에 굳이 그 단지에 꼭 살아야하는 이유(예를들어 학교배정 등)가 없다라고 하면 다른 단지들의 전세매물도 모두 경쟁매물이 되기 때문에 이부분 같이 고려야하셔야합니다. 6.집 수리의 기준도 다양하기 때문에 구두로 설명을 드리긴 어려운데요. 집 수리상태는 그때그때 시장상황에 따라 달라질순 있어요^^ 전세매물이 귀하고, 나와있는 전세가 없다면 수리를 안해도 전세가 나갈 수 있지만 전세매물이 많고 나와있는 매물들의 수리상태가 좋거나 전세손님이 별로 없다면 반대로 수리를 더 해야 내 매물을 1등조건으로 만들 수 있게 되기도 하구요^^ 현재 나와있는 전세 매물의 상태등이 어떤지 알아보시고 요즘 전세 시세가 어느정도 되는지 매물임장을 통해서 혹은 전화임장을 통해서 다양한 사장님들의 의견을 종합해서 판단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수리부분은 코크드림님의 인테리어특강도 굉장히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니 필요하시면 강의를 들어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7.전세매물이 2000세대에 250개라면 입주중인 단지일까요? 전세매물이 많은편이긴 한것 같습니다. 이 경우 전세가격을 최저가에 싸게 내놓고 보수적으로 보셔야 할 것 같아요. 구체적인 단지나 지역 상황을 모르기 때문에 자세한 답변은 어렵지만 쉽지 않을 수도 있으니 잘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DCT님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어려운부분들은 현장에서 부동산사장님들과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많으니 전화나, 매물임장을 통해서도 파악해보시고 매수하기전에 매물코칭을 통해 DCT님께서 보시지 못하는 매물의 리스크나, 가격적인 부분등을 전문가와 종합적으로 이야기 나누시고 매수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ECT님 화이팅입니다 :)
DCT님 안녕하세요~ 1. 6월 1일 기준으로 세금이 결정되기 때문에 매수자 입장에서는 6월 1일 이후로 등기를 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부모님께서 1주택을 갖고 계신 상황에서 DCT님이 등기를 치면 1가구 2주택이 됩니다. 만약에 전세나 월세로 이사를 나와서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1가구 1주택이 됩니다. 2. 부동산에 많이 내놓은 매물은 그만큼 급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1개~3개? 정도 내놓으시더라구요. 3. 지하철과 가까운 쪽이 선호도가 높고 전세도 먼저 나가겠지만 투자금이 부족하다면 단지 자체의 가치도 중요하기 때문에 지하철과 멀리 있는 동을 매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전수조사는 성북구 200세대 이상 모든 단지의 시세를 따는 것입니다. 시세따기도 비슷한 개념인 것 같아요. 투자하기 위해서는 모든 단지의 시세를 파악 후 내 자산 상황, 투자금에 맞는 단지를 추려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5. 전세 개수를 먼저 보기 보다는 단지의 선호도를 먼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6. 코크드림님의 인테리어 특강 추천드립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전세가 너무 없는 경우는 수리가 잘 되지 않아도 전세가 나가지만 주변에 전세 물량이 많은 경우 기본적으로 수리는 필요합니다. 7. 입주장인 단지인지 모르겠으나 전세 매물이 많이 나와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경우 전세빼기를 보수적으로 봐야하는 것 같고 매물임장을 직접 하면서 사장님들에게 여쭤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8. 더보기를 해서 들어가면 중복매물이 제외되기 때문에 개수가 더 줄어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CT님 투자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