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전세나 전세껴있는 매물

안녕하세요~
친절하고 꼼꼼하신 답변에 항상 도움받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초보 투자자라 질문이 매일 생기네요^^;

 

  1. 매물중에 주인전세를 원하고 최대 8년까지도 살기를 원한다는 매물도 있고, 전세껴있는 물건이 최근에 갱신한것 또 내년초에 있는것등등 여러가지가 있던데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인전세나 전세껴 있는 매물은 어떤 경우가 가장 매수하기 좋은조건일까요?
  2. 전세 갭 자금을 막연히 매매가-전세가로 생각했는데 보통 부대비용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예산을 생각해야 하나요?
  3. 네이버 관심매물은 찾았는데 알림이 없어서요

    아무리 찾아도 없는데 어디를 체크하면 될까요?

    4. 저번에 문의 드렸는데 다시 드릴께요^^;

    매물중에 임대동에 있는 매물이 나왔더라구요

    이건 일반 매물과 같이 보면 될까요? (참고로 힐스테이트 신촌) 부사님은 같은 아파트를 싸게 사는거라 하시는데요

5. 전화임장때 부동산앱에 나와있는 매물말고 가지고 계신 싼 매물도 보여주시던데 지금 앞마당을 만들어 가고 있는 상태에서 이런 물건들은 중간에 빨리 나갈듯한데 이런 경우엔 보통 어떻게 하실까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드림텔러user-level-chip
25. 03. 21. 17:07

BEST | DCT님 안녕하세요~ 1. 주인전세나 세가 껴있는 경우의 조건들은 지금처럼 대출규제가 있는 상황에서 매수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주변에 입주장으로 인해 전세 맞추는데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맞출 수 있어 가격만 맞으면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2. 취득세(주택수에 따라 다름), 법무비용, 중개수수료 (0.4%), 인지세 15만원, 채권매입비용 등등 이정도 더 부가비용이 발생합니다. 3. 네이버 알림은 종모양으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 힐스테이트 신촌 같은 경우 104, 105동이 아마 임대동으로 알고 있는데 전세 가격은 일반동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충분히 투자금 줄일 수 있는 매물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5. 앞마당 만들면서 싼 매물이 나오지만 어느정도 확신이 없으면 매수하지 않고 지켜보고 다른 생활권에도 괜찮은 단지가 없는지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앞마당에 있는 매물들과 비교해도 괜찮은 단지라면 협상을 시도할 것 같습니다. 투자 빠이팅입니다!!

함께하는가치user-level-chip
25. 03. 21. 17:21

DCT님 안녕하세요~! 앞서서 드림텔러님께서 너무 좋은 답변을 해주셔서 :) 취득세나 법무비용등 기타 비용을 계산할때는 부동산계산기 사이트를 이용해보시면 조금 더 편리하게 계산해보실 수 있어요^^ 그리고 중개수수료는 전세를 새로 맞춰야하는 경우 매매중개수수료+전세중개수수료를 함께 계산하셔야합니다. 전세의 경우도 보증금액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3%정도 됩니다. 비선호동이라도 전세가가 비슷하다면 단지자체를 사는것이기 때문에 나중에는 비슷한 비율로 가격의 상승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선호동을 싸게 사는것이 가장 좋지만 비선호동을 싸게사서 투자금을 줄이는 방법도 투자로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 아마 부동산에 가시면 싼 매물이라고 하시면서 DCT님을 굉장히 조급하게 만드실거예요ㅎㅎ 하지만 DCT님께서 공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고 확신이 없으시다면 아무리 싸게 샀어도 그 물건을 오랫동안 보유해나가고 지켜나가실수가 없을거예요ㅠㅠ 내가 공부를 하고, 준비가 되면 언제든지 싼 매물을 찾는 눈을 기를 수 있으니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마시구 천천히 공부하셔서 좋은투자하셨으면 좋겠어요! DCT님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