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21기 폭풍성장 3월! 훨훨 이6하조 단단바람] 더 좋아 vs 덜 좋아

2025 NEW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 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 시작하는 법

안녕하세요. 단단한 사람이 되고 싶은 단단바람입니다.

 

어쩌다 보니 1월부터 계속 정규강의에서 유디님을 만나고 있습니다.

일관되게 ‘지금 하셨으면 좋겠다’ 는 진심을 전해 주시네요.

 

시작하시면서 고민 짚어 주셨는데, 내 이야기인가 싶었네요.

항상 수강생들과 함께하면서 함께 고민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 중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공급에 대한 부분 이었습니다.

강의를 듣기 전에는 일률적으로

“공급이 많으면 전세가격이 떨어진다” 라고 생각했는데

좀 더 입체적으로 보면서 전세가격의 흐름을 디테일하게 짚어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막연하게 동대문구 공급장을 바라 볼 것이 아니라,

현재 시장상황에 따라 어떻게 될지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서울.경기 아파트는 장기적으로 전세가격이 오른다!

투자 우선순위만 있을 뿐 투자 기준 안에서 ‘좋다’ ‘덜좋다’를 알고

가장 좋은 단지를 매수한다

싸지 않은 것, 오를 것 같은? 단지를 쳐다보지 않는다"

이 말씀을 머리에 새겨야 겠어요. 

실제 비교 평가를 하다보면  올라버려서 덜 싸진 단지를 내려놓치 못했던 것을 반성합니다!

 

"좋은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사는 것이,

평범한 기업을 헐값에 사는 것보다 낫다"

워런버핏 명언으로 더 버는 투자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주셨습니다.

'더 버는 투자' 대한 예시로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질문을 제가 예전 서기때  질의응답으로 제출했었던 기억이 나서 뜨끔했네요 ^^

 

그리고 강의에서 다뤄주신 A지역은 제 앞마당이어서

생활권 특징을 잡고 우선순위를 설명해 주시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권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BM

좋아? 덜 좋아? 관점으로 비교평가 하기

약점이 있는 단지에 소액투자 기회가 어떻게 오는지 시세트래킹

시세지도에 입지 서술하고, 투자금액대 의견 적어보기 (장표 BM) 

 


댓글


단단바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