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예적금 금리가 계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까지 금리를 인하했어요.
1년 전에는 4% 금리도 있었지만,
요즘은 2%대를 기록하고 있답니다.
예적금이 직장인 재테크 유형 중 비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많은 분들께서 다른 대안을 찾느라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1%가 아쉬운 상황에,
새로운 재테크 투자처를 찾고 계시다면?
오늘 제대로 찾아오셨답니다!
예적금보다 높은 금리를 주는
가장 대표적인 금융상품으로 파킹통장, CMA통장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 CMA통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거든요.
CMA 통장의 개념, 장단점부터
어떤 CMA유형과 통장을 선택해야하는 이득인지까지
쉽게 소개해드릴게요!
CMA 통장은 종합자산관리계좌 라는 뜻이에요.
영어로는 Cash MAnagement Account로 각 단어의 첫 스펠링을 따와 CMA가 되는데요.
은행이 아닌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계좌예요.
수시입출금이 가능해서 은행 예금과 비슷해보이지만
더 높은 금리를 주는 통장이죠!
쉽게 말해서 증권사 투자상품 계좌라서 이자가 더 붙는데,
예금처럼 넣었다 뺐다도 자유로워요.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계좌이니 증권사를 방문해서 만들면 돼요.
물론 직접 방문이 아닌, 어플로 개설이 가능하답니다.
(증권사는 각 사마다 금리, 서비스가 달라서
비교해보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개설할 때는 CMA 유형이 여러 개이니 이에 대해 미리 알고 개설하면 좋겠죠?
첫번째 유형 RP형(Repurchase Agreement)은
풀어말하면 환매조건부채권형인데요.
이렇게 말하니까 참 어렵죠?
쉽게 생각하면 증권사가 채권을 매수, 매도하는 구조의 상품인데요.
금리가 안정적이고
하루만 돈을 맡겨도 이자가 발생해서
CMA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형이예요.
보통 장기로 돈을 넣어두기 보다는
단금으로 관리할 때 사용하는 유형이죠.
MMF형(Money Market Fund)은 한국말로해도 머니마켓펀드형인데요.
채권 뿐 아니라 어음 등의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구조입니다.
RP형과 비교해보면 변동성이 있는 편이에요.
(특히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차이가 있어요.)
하지만 수익은 RP형보다 높게 얻을 수도 있는데요.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요.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이유는
펀드 방식이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 한도가 적용되지 않아서예요.
(예금자 보호 최대 5,000만원 한도)
MMW형(Money Market Wrap)은
역시 한국말로 해도 머니마켓랩형이고
구조는 RP형과 MMF형의 중간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그렇기 때문에 이 유형의 특징 또한
MMF보다는 안정적이지만 그 수익률은 완전히 고정이 아니예요.
그래서 수익률이 시장 금리나 증권사 방식에 따라서
RP형보다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다는 변동성을 갖고 있죠.
한 마디로, 일정 부분 안정적이면서도 어느 정도 변동성을 감내할 수 있다면
MMW형을 선택하기도 해요.
종금형은 종합금융회사형의 줄임말로,
말그대로 종합금융회사가 운영하는 구조예요.
다른 CMA 통장과 다르게 예금자 보호(최대 5,000만원 한도)가 적용되지만
CMA 통장 치고 금리가 낮아요.
난 예적금보다 진짜 조금 더 금리가 높은데
완전 원금이 보장되어야해!
하면 종금형을 선택하실 수 있어요.
그 외 유형으로는 발행어음형도 있는데,
증권사가 자체 발행하는 어음에 투자하는 구조예요.
다른 CMA 유형에 비해 수익이 예측가능하고
금리도 RP형보다 낮지만
단점이 있어요!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넣어야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죠.
그래서 만약 만기 이전에 돈을 빼면 손해를 볼 수도 있어요.
유형 | 수익률 | 안정성 | 예금자 보호 | 특징 |
---|---|---|---|---|
RP형 | 중간 | 높음 | ❌ | 가장 보편적, 안정적인 단기 운용 가능 |
MMF형 | 다소 높음 | 중간 | ❌ | 펀드형 투자 방식, 변동성 있음 |
MMW형 | 중간~높음 | 중간 | ❌ | RP형과 MMF형의 혼합형 |
종금형 | 낮음 | 매우 높음 | ✅ | 원금 보장, 안정성 최우선 |
발행어음형 | 중간~높음 | 중간 | ❌ | 증권사가 발행하는 어음에 투자, 일정 기간 예치 필요 |
결론을 말하자면
안정적이어야 한다면 RP형,
안정적이면서도 원금 보장이 필요하다면 종금형,
수익률 높은 것이 우선이라면 MMF형, 발행어음형,
RP와 MMF의 중간을 원하면 MMW형(증권사별 수익률 차이 클 수 있음)을
선택하시면 돼요.
증권사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 형을 보면서 비교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장점은 4가지 정도 돼요.
첫째,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생긴다!
둘째, 예금처럼 돈을 자유롭게 넣었다 뺄 수 있다!
셋째, 예금보다 금리가 높다!
넷째, 펀드, 주식 투자 계좌와 연결해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CMA 통장은 증권사의 금융 상품 이니까요!)
그렇다면 단점은 어떨까요?
첫째, 종금형을 제외하고 예금자 보호가 안 돼요.
둘째, 금리가 증권사에 따라 변동될 수 있어요.
셋째, CMA 통장은 체크카드 연결이 가능한데
MMF형, MMW형은 연동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럼 이제 금리 높은 CMA 통장을 순서대로 보면…?
순위 | 증권사 | 상품명 | 금리(연) |
---|---|---|---|
1 | 미래에셋증권 | 미래에셋증권 CMA-RP 네이버통장 | 3.05% |
2 | 다올투자증권 | CMA(RP형) | 2.90% |
3 | 유진투자증권 | 챔피언CMA(RP형) | 2.90% |
4 | SK증권 | 행복나눔CMA(RP형) | 2.90% |
5 | DB금융투자 | happy+ CMA(RP형) | 2.85% |
6 | SK증권 | Magic CMA(RP형) | 2.80% |
7 | 우리투자증권 | 우리WON CMA Note (종금형) | 2.80% |
8 | 한국투자증권 | CMA(발행어음형) | 2.75% |
9 | IBK투자증권 | IBK투자증권CMA(RP형) | 2.75% |
10 | 현대차증권 | The H CMA (디지털RP형) | 2.75% |
여러 증권사별, 금리가 높은 순으로 표에 적어두었어요.
1% 금리가 아쉬운 이때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럼 재정석은 다음에 또 좋은 정보로 찾아올게요!
[+] 이것도 궁금하실 걸요?
파킹통장이 뭐길래.. 꼭 써야할까? “안 쓰면 얼마나 손해인지 계산해봤습니다.”
사회초년생 돈관리 방법. 연봉 2,700만원으로 똑같은데 남들보다 2배 빠르게 1억 모아요
재테크의 정석은 재테크(부동산, 주식, 투자, 부업) 초보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전달하고 있어요. 어렵고 헷갈리는 재테크 정보를 더 쉽고 정확히 모아 여러분의 재테크 생활을 함께합니다!
댓글
cma 통장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더 높은 금리 적용받을 수 있는데 매번 쓰던것만 쓰게 돼서 아쉬웠어요ㅠㅠ 좋은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ma통장 총정리 버전이네요!!!!
와...CMA 예전 대학때 사용했다가 완전 어느덧 잊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ㅠㅠ 정리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