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 입주권? 헷갈려요 - (분양권 및 입주권의 법적 정의와 주요 차이점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인연의 블랙홀 사상지평입니다.

분양권과 입주권의 용어를 혼동하여 쓰고 있는 것 같아 명확한 정의를 알려드리고

두 용어의 차이점을 알려 드리기 위해 AI를 활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더이상 헷갈려 하시지 마셔요~

 

분양권 및 입주권의 법적 정의와 주요 차이점 분석 보고서

 

1. 서론: 부동산 시장에서의 분양권 및 입주권의 의미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신축 주택 취득과 관련된 권리인 분양권과 입주권에 대한 관심과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권리들은 미래의 주거 공간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지만, 그 법적 성격과 효력, 취득 및 행사 조건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본 보고서는 분양권과 입주권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를 제시하고, 취득 시기, 대상 물건, 권리 행사 시점, 법적 지위, 세금, 양도 제한 등 주요 측면에서 이 두 권리를 비교 분석하여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정확하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

 

2. 분양권의 법적 정의

주택법 제40조에 따르면, 분양권은 '사업주체가 건설⋅공급하는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입주자로 선정되어 해당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자격⋅지위)'로 정의됩니다. 이는 아파트 분양 계약을 체결한 후, 수분양자가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치기 전까지 가지는 계약상의 지위를 의미합니다. 즉, 분양 신청자가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어 분양 계약을 체결하면, 계약 당사자인 수분양자는 대금을 완납했을 때 분양자에게 건물의 완공 후 인도를 요구할 수 있으며, 해당 건물의 구분 소유권을 취득하리라는 기대를 갖게 됩니다. 이러한 계약상의 기대가 바로 분양권의 주요 내용을 구성합니다 2.

 

일반적으로 부동산 업계에서는 분양권을 신축 아파트 분양에 청약하여 당첨된 사람의 지위, 즉 수분양자의 지위를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합니다. 법적으로 엄밀히 말하면, 분양권은 단순히 권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권리와 의무를 포괄하는 계약상의 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률적으로 표현하자면, 분양권은 부동산 매수인의 지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다만, 건물 완공 전에는 공급자인 분양권자도 계약상의 채무를 완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분양자 역시 대금 지급 의무가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수분양자는 건물 입주 사용 청구권과 소유권 이전 등기 청구권을 당장 행사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장래에 이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기대, 즉 물권적 기대권을 가지는 현재의 채권자적 지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한편, 세법상 분양권의 취득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한 법 해석이 나오지 않아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국세청 통칙에서는 분양권 당첨일을 기준으로 분양권을 정의하는 새로운 해석이 나오기도 했으나, 기획재정부의 최종 판단이 지연되면서 계약일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법적 안정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5. 이는 법률의 목적과 해석 기관에 따라 분양권의 개념 정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 입주권의 법적 정의

입주권은 주로 도시 재개발 또는 재건축 사업 과정에서 해당 사업 구역 내에 있던 기존 주택의 소유주에게 주어지는, 새로 건설되는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1. 입주권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재개발 또는 재건축 구역의 조합원으로서 분양 자격을 갖춘 토지, 건물 등의 소유자여야 합니다 6. 즉, 입주권의 전제는 재건축 또는 재개발 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갖는 것입니다 7.

 

소득세법 제89조 2항에서는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에서 '관리처분계획인가로 인하여 취득한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조합원입주권으로 정의하며, 재개발 또는 재건축 구역의 주택이나 토지 등이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후부터 조합원입주권으로 간주됩니다 8. 관리처분계획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시행 인가를 거쳐 조합원들의 기존 자산을 평가하고, 새로 건설될 주택의 배분 기준 등을 정하는 계획으로, 이 계획이 인가되면 조합원들은 새로운 집에 입주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확정적으로 갖게 됩니다 1. 따라서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에는 기존 건물이 철거되지 않았더라도 법적으로 주택이 멸실된 것으로 간주되어 조합원들의 입주권은 법적으로 완성됩니다 1.

 

재건축 사업의 경우, 사업 구역 내에서 주택과 부속 토지를 모두 소유한 자만이 조합원으로서 분양 자격 및 입주권을 얻을 수 있으며, 토지만 소유하거나 건물만 소유한 경우에는 입주권 부여 없이 현금 청산자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10. 반면, 재개발 사업의 분양 대상자는 관리처분계획 기준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종전 토지의 순 면적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등 예외 규정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10.

 

4. 분양권과 입주권의 주요 차이점 비교 분석

구분분양권입주권
취득 시기신축 아파트 청약 당첨 또는 분양 계약 체결 시점 1재개발/재건축 사업의 관리처분계획 인가 후 조합원 자격 취득 시점 1
대상 물건신축되는 특정 동·호수의 아파트에 대한 계약상 지위 및 미래의 소유권 1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인해 새로 건설될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 (구체적인 동·호수는 추후 결정될 수 있음) 1
권리 행사 시점아파트 완공 및 사용 승인 후 잔금 납부 및 소유권 이전 등기 완료 시점 3재개발/재건축 사업 완료 및 새로운 아파트 사용 승인 후 소유권 이전 등기 완료 시점 1
법적 지위원칙적으로 주택으로 간주되지 않음 (세법상 2021년 이후 주택 수에 포함) 1세법상 1주택으로 간주 1
세금건설 기간 중 재산세 부과되지 않음 1. 양도 시 양도소득세 부과 (보유 기간 및 지역에 따라 세율 상이) 1. 소유권 이전 등기 시 취득세 납부 (분양가 + 프리미엄 기준) 1기존 주택 보유 시 2주택으로 분류되어 세금 영향 발생 가능 1. 양도 시 양도소득세 부과 (기존 주택 취득일부터 보유 기간 산정) 1. 신축 아파트 취득 시 취득세 납부 (청산금 포함 가능) 1. 사업 진행 중 토지분에 대한 재산세 부과 가능 1
양도 제한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등에서 전매 제한 기간 존재 1원칙적으로 전매 제한 없음 (다만, 관리처분계획 인가 전 조합원 자격 거래 시 불법적 요소 발생 가능) 1
초기 투자 비용분양 금액 분할 납부로 초기 투자 비용 상대적으로 적음 1조합원 지위 인수로 초기 투자 비용이 클 수 있으며, 추가 분담금 발생 가능성 존재 1

분양권과 입주권은 신축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라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취득 과정, 대상, 법적 지위, 세금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6. 분양권은 주로 일반적인 신축 아파트 분양 과정에서 청약에 당첨되거나 분양권을 매수함으로써 취득하는 반면, 입주권은 재개발 또는 재건축 사업의 조합원으로서 기존 부동산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새로운 주택에 입주할 권리를 얻는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1.

 

특히 세법상 분양권은 과거에는 주택으로 간주되지 않았으나, 2021년부터는 주택 수에 포함되어 세금 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1. 반면, 입주권은 사업 시행인가와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조합원에게 주어지는 권리로서, 법적으로 1주택으로 간주되어 기존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세금 부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또한, 입주권의 양도세 산정 시 보유 기간은 기존 주택 취득일부터 계산되는 반면, 분양권은 취득 시점부터 계산된다는 점도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6.

 

5. 분양권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시

분양권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하고 거래됩니다.

  • 신축 아파트 청약 당첨: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신축 아파트 분양에 청약하여 당첨된 경우, 당첨자는 해당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분양권을 획득합니다 1. 이는 일반적인 신축 아파트 공급 방식에서 가장 흔한 사례입니다.
  • 분양권 전매: 신축 아파트 분양 계약을 체결한 수분양자가 아파트 완공 전에 자신의 분양권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1. 이는 부동산 투자 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계약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됩니다. 다만, 투기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서는 분양권 전매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 국민주택 및 민영주택 취득: 분양권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포괄합니다 1.

     

6. 입주권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시

입주권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하고 거래됩니다.

  • 재개발 또는 재건축 조합원 자격 획득: 도시 재개발 또는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는 구역 내에 토지나 건물을 소유한 주민들이 조합을 구성하고, 사업 시행인가 및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게 되면 조합원들에게 새로운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인 입주권이 주어집니다 1. 서울시의 경우 재건축 사업에서는 주택과 부속 토지를 모두 소유해야 입주권이 주어지는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10.
  • 입주권 매매: 재개발 또는 재건축 사업 구역 내의 기존 부동산 소유자가 조합원 자격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는 형태로 입주권이 거래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리처분계획 인가 전에는 조합원 자격 자체를 거래하는 것이므로 법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 1.
  • 상속 또는 증여: 입주권은 상속이나 증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소유자가 입주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14.

     

7. 결론

분양권과 입주권은 모두 장래에 신축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라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그 취득 과정, 대상 물건, 법적 성격, 세금 부과 방식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분양권은 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 청약이나 매매를 통해 획득하는 계약상의 권리인 반면, 입주권은 도시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부동산 소유자에게 주어지는 조합원으로서의 권리입니다. 특히 세법상 주택 수 포함 여부 및 양도세 산정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부동산 거래 시 이러한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관련 법규를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양권과 입주권은 주택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각 권리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성공적인 부동산 투자 및 주거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참고 자료

  1. 최근 활발한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 우체국과 사람들,  http://www.postnews.kr/cpost_life/sub_read.asp?cate=22&BoardID=4320
  2.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ekoland1/110151857542?viewType=pc#:~:text=%EC%A3%BC%ED%83%9D%EB%B2%95%20%EC%A0%9C40%EC%A1%B0%EC%97%90%EC%84%9C%EB%8A%94,%E2%8B%85%EC%A7%80%EC%9C%84)'%EB%9D%BC%20%ED%95%9C%EB%8B%A4.
  3. 분양권에 대한 이해 : 네이버 블로그 - Naver Blog,  https://blog.naver.com/ekoland1/110151857542?viewType=pc
  4. 분양권 불법전매(전매제한 위반)의 효력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eseungbaek/221836589115?viewType=pc
  5. '분양권 취득일' 기재부는 장고…억울한 납세자 생길 수도 - 조세일보,  https://m.joseilbo.com/news/view.htm?newsid=443651
  6. [부동산워치]새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권리 '입주권·분양권' 무슨 차이 ...,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1251
  7. '분양권'과 '입주권' 무슨 차이가 있을까?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EK0TkWO42ss
  8.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hdsj1017?Redirect=Log&logNo=221185566616#:~:text=%EC%86%8C%EB%93%9D%EC%84%B8%EB%B2%95%2089%EC%A1%B0%202,%EC%9E%85%EC%A3%BC%EA%B6%8C%EC%9D%B4%20%EB%90%98%EB%8A%94%20%EA%B2%83%EC%9E%85%EB%8B%88%EB%8B%A4.
  9. 재개발 · 재건축구역 주택(조합원입주권)의 정의와 단계별 변동시기 ...,  https://blog.naver.com/hdsj1017?Redirect=Log&logNo=221185566616
  10. 재개발·재건축 사업부지 내 도로 소유 시 입주권 자격 정리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lawjk3877/222777284665
  11. 분양받은 새 아파트 입주 절차와 소유권 이전등기, 취득세 납부 안내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aonmyside/222792880840
  12. 입주가이드 - 공사/입주단지 - 베르디움,  https://www.hobanapt.co.kr/living/guide2/mobile
  13.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공된 경우 거주요건은?,  https://www.kbgoldenlifex.com/senior/XAA72M06020.kb?bltsSerno=2392&bltsDstcd=01&ctntDstcd=03
  14. 재개발 재건축에서 조합원 입주권 매매 주의사항, 절차, 특약 총정리 - NAVER,  https://m.site.naver.com/1ww5m

댓글 2


미식이user-level-chip
25. 03. 21. 22:59

우와 지평님 덕분에 입주권과 분양권의 차이를 명확히 알게되는것 같습니다..! 특히 세법상 1주택, 2주택 인정이라는 부분과 양도세와 재산세 주택수산정에 따라 달라지는 차이점도 알게되었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사상지평user-level-chip
25. 03. 21. 23:15

미식이님 응원 감사해요~👍

    팔로우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팔로우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