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신혼부부 필독, 아직도 전월세 구하는 게 막막하다면.... (전세 집 구하는 프로세스)

 

 

 

 

 

 

 

결혼을 준비하는 친구가 있음

 

 

 

3N년 평생을 부모님 댁에서 살다 보니

부동산 거래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친구

 

 

 

전세대출 받아서 

전셋집을 구하려 하는데

이 과정 자체를 막막해하길래

 

 

 

이런 사람들 많겠다 싶어서 

글로 쓰기로 함

 

 

 

전셋집 구하는 것부터

입주하는 날까지의 흐름 알려드림!

 

 


 

1. 마음에 드는 집 구하기

 

 

 

 

 

 

신혼집 위치 

정하는 것부터 어렵지?

 

 

 

회사랑 출퇴근 거리가 제일 중요함

 

 

내가 예전에 가격만 보고

배우자랑 둘 다 먼 곳에 했다가 

엄청 후회했거든

 

 

 

배우자랑 상의해서 

둘 다 만족하는 곳을 

고르면 되는데

정답은 없어

 

 

나같은 경우는 

집안일을 더 많이 하는 사람 

회사와 가까운 쪽으로 골랐음

 

 

 

두 사람 회사의 중간 지점,

육아를 도와주시는 부모님 댁

등 본인들의 상황을 고려해서

정하면 됨

 

 

 

마음에 드는 집을 구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2. 전세계약서 작성

 

 

 

임대인이랑 

전세 계약서를 작성할거임

 

 

근데 이 때 뭘 봐야 하냐?

등기부등본 확인해야 함!

 

 

 

 

1) 표제부 확인

 

 

ㄹㄹㄹㄹ.jpg

 

 

   -계약하려는 집 주소 맞는지

 

   - 건물 용도가 주거용인지 

 

(상가/사무실이면 전입신고 불가)

 

- 위반 건축물 여부 확인

 

 

 

 

2) 갑구 확인

 

갑구.jpg

 

 

신분증

전세 계약서 임대인

등기부등본상 소유자

 

3가지 일치한지를 비교해 봐

 

 

 

계약서 쓰러 온 사람이

소유주 맞는지 보는 거야

 

 

 

 

 

3) 을구 확인

 

을구.jpg

 

 

- 근저당 설정 여부 확인

 

 

보증금보다 대출금이 많거나

이미 근저당 잡힌 게 있으면

 

 

 

그 선순위 담보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서 

내 보증금이 보호되기 때문에

 

 

 

선순위 근저당이 

많이 잡혀 있으면

위험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집값이 10억인데

선순위 근저당이 

이미 8억이 잡혀 있어

 

 

전세 보증금은 5억이라면

내 보증금을 다 못 받을 수 있겠지.

 

 

 

 

그리고 등기부등본 확인할 때

 

 

ㅇㅇ.jpg

 

 

 

오늘 출력한 등기부등본인지

페이지 다 출력된 건지

( 4/4페이지까지 다 있는지)

까지도 보자

 

 

 

혹시 한 달 전에 뽑은

등기부등본이라서

 

 

그 사이에 다른 근저당

잡혀있음 안 되잖아ㅜㅜ

 

 

 


3. 전세자금대출 신청

 

 

 

 

 

계약서도 잘 작성했으면

은행에 가서 전세대출 신청을 할 텐데

필요한 서류들이 엄청 많더라고?

 

 

 

은행마다

상품마다 다르겠지만

 

 

 

신분증

주민등록 등본/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

재직증명서

계약서

계약금 영수증

 

 

 

제출하라고 할 거야

 

 

근데 이때 중요한 게!

 

 

대부분 은행들이

확정일자 받은 계약서

를 달라고 할거임

 

 

 

확정일자가 뭐냐고??

 

 

 

임대차 계약서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합의한 날짜를

주민센터에 등록하여

소유권을 보호받는 것을 말해

 

 

 

주민센터나 동사무소 가도 되는데

인터넷등기소 인터넷 사이트에서도

발급 가능함!

 

 

 

전세대출을 안 받더라도 

계약일 30일 이내 

확정일자 받아야 해

 

 

 

확정일자 받은 날로부터 

효력 발생하니까

최대한 빨리 하는 게 좋겠지?

 

 

 

근데 이게 대항력이 있을까?

 

 

 

사실.... 아니야

 

 

확정일자만 받는다고 해서

대항력이 생기진 않아

대항력 가지는 방법 

뒤에서 말해줄게

 

 


4. 이사 당일

 

 

출처 : 나무위키

 

 

 

전세대출 승인이 나고

이삿날이 되면

 

 

 

은행에서 바로 임대인에게

전세대출금액을 보내줄 거야

(은행이 세입자한테 돈을 주기도 해)

 

 

 

어쨌든 전세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다 보낸 다음

바로 해야 할 건 뭐냐면!!!

 

 

 

⭐전입신고⭐

 

 

 

전입신고를 한 다음날 0시부터

세입자의 대항력이 발생하거든

 

 

 

아까 위에서 

확정일자만 받아서는

대항력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던 거 기억나지?

 

 

 

전입신고를 해야 

대항력이 생겨!

 

 

 

집이 경매로 넘어가더라도

우리는 그 집에 살 수 있고

보증금도 돌려받을 수 있어

 

 

 

전입신고도 

동사무소에 직접 안 가도

인터넷에서 가능하니까

꼭 이사 당일날 하자구!

 

 

 


 

전세집 구하는 프로세스

정리해보자면

 

 

1. 이사갈 집 정하기

2. (계약전) 등기부등본 확인

3. (계약후) 확정일자 받기

4. 필요 서류 구비 후 전세대출 신청

5. 전세보증금 입금 후 이사 진행

6. (이사 당일) 전입신고⭐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는지

알게 되니까 덜 막막하지?

 

 

 

마음에 쏙 드는 집 찾아서

가족들과 행복한 생활하길 바래

 

 

 

그리고 돈 열심히 모아서

내 집에서 살자!

 

 

 

내집마련에 대해 미리 공부해두면

후회 안 할 거임!!

아래 사진 누르면 됨

 

▼▼▼▼▼

 

 

 


댓글


주유밈user-level-chip
25. 03. 27. 06:51

신혼집을 구하는 프로세스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3. 27. 06:55

신혼집 구하는 프로세스 친구에게 공유해줘야겠어요~!

등어user-level-chip
25. 03. 27. 07:34

신혼부부에게 넘나도움되겟네요 !! 좋은 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