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0기 87조 어린바다]

23.09.01

1. 내 자산 현황에 맞는 지방 vs 수도권 투자처 찾기

- 투자금: 현재 보유한 5천만원 이하, 1년에 모을 수 있는 투자금 5천만원 이내 -> 지방 B급 입지

- 시간: 대신 주당 40시간 정도의 투자시간 필요, 한달에 지방 앞마당 1개 만드는 것이 목표

- 목표: 3년내 3억 이상 자산 목표

- 장점: 소액 가능, 빠른 매도로 차익 실현 가능

- 단점: 역전세 리스크 있음, 지방 앞마당 만들기위한 시간과 체력 필요, 매도를 위해 지속적으로 신경쓰며 점검해야 함.


<적용할 점>

* 지방투자는 수도권 투자보다 투자금이 적고 투자 경험이 적은 나에게 알맞은 투자처, 경험을 쌓으면서 전세가 상승분만큼 수익 실현 가능.

*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대보다, 현재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라는 기회를 놓치지 말자.(언제 투자할 것인가?, 수도권 말고 지방에 투자해도 안전한가? 등에 대한 답)

* 투자의 제1원칙은 저평가된 곳에 투자하는 것이다. (저가치와 저평가를 구분하는 눈을 키우자->어떻게? 명확한 답을 주진 않음)





2. 지방 투자

- 가격기준: 전세가율 70% 이상인 곳, 입주물량이 수요범위 이내인곳(전세 셋팅해야 하므로)

- 입지기준: 인구수 20만 이상, 지방입지 우선순위는 학군, 입지보다는 연식(B급 신축>A급 구축)


<point>

* 당장의 입주물량만 보지 말고 2~3년 후까지 예측하여 반영 

* 같은 생활권으로 묶인 도시의 입주물량까지 고려하여 선정

* 2~4년 내 매도 가능여부 체크(입주물량, 상승시기 가격 전고점 고려)


<적용할 점>

*한 달에 한 곳 지방 앞마당 만들기

*필수임장지: 5대광역시+5대 중소도시

*3개월 이후 투자 목표: 더 많이 오를 지역 우선 임장


<더 궁금한 점>

* 평당가 조사는 어떤 식으로 하는건지? 각 지역의 랜드마크 아파트만 검색해서 정리하는 건가? 아니면 다른 사이트가 있나?

* 앞마당이라는 건 어떤 건지 명확히 알고 싶다. 예를 들어 대구라면 각 구의 랜드마크 아파트만 임장을 하면 거기가 내 앞마당이 되는건가 아니면 전체를 다 돌아봐야 하는건가.. 전체를 다 도는 거라면 너무 오래 걸릴 것 같은데..

* 입주물량 조사는 어떻게 하는건지.. 어느 사이트에 가서 어디를 들어가야 알 수 있는건지..?

* 큰 틀을 알려주긴 했으나 초보투자자들에게 세세한 디테일 설명이 부족하다. 앞으로의 강의에서 설명을 해주실지 아니면 다른 실투반이나 내마반 등의 강의에서 설명을 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 강의에서는 짚고 넘어가지 않은 듯..





3. 수도권 투자

- 가격기준: 전세가율 60% 이상인 곳, 현재 가치 대비 가격이 저렴한가(상승장 대비 30% 이상 하락한 가격인가?)

- 입지기준: 우선순위는 직장, 교통/ 연식보다는 입지(B급 신축<A급 구축)


<point>

* 강남 출퇴근 1시간 이내 지역

* 입주시기 30년 이내의 신축, 준신축, 구축

* 교통호재만 보고 들어가면 안되겠지만 현재 입지가 괜찮다면 호재보고 들어가도 된다.


<적용할 점>

* 한 달에 한 곳 앞마당 만들기

* 수도권 거주 + 수도권 임장 처음 : 1기 신도시 부터 임장(부천, 산본)

* 평균이상입지 외곽에서 시작해서 핵심지역으로 임장하기

* 독강임투를 계속하자, 현재는 독강만 하고 있다. 그 다음 임장, 마지막엔 투자.. 독강임투 모두를 완성하자.


댓글


범비
23. 09. 05. 22:09

정말 꼼꼼하게 강의를 복기하셨네요!!^^지금 가진 궁금증들은 정규강의 쭉 들어보시면 자연스레 해결되실거 같아요!ㅎㅎ조톡방이나 조모임 통해서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1주차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