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부에디터입니다.
오늘은 월부TV의 190만 구독자 중 한 분께서
집을 사셨다는 소식을 듣고,
너나위님과 함께 집들이를 가본 이야기를 적어보려고 해요.
실제로 방문했을 때
너나위님은 진짜 두루마리 휴지를 사오셨답니다.
함께 방문한 아파트는 성북구 월곡동에 위치해있는데요,
큰 단지가 쾌적하고 깔끔하다는 인상을 줬어요.
너나위님 설명에 따르면, 주변에 브랜드 아파트가 있고
가운데 학교도 위치해있다고 해요.
2000년대 중반식인데 그래서인지 몰라도
‘구축이다!’라는 느낌보다 잘 지은 아파트에 세월이 묻어나오는 연륜 느낌이 강하다고요.
오늘 너나위님은 단순히 집을 방문하시는 것 뿐만 아니라
구독자 분들께 진짜로 도움이 될 현장 이야기를 들려주신다고 해요.
바로 집 보러 갈 때 꼭 확인해야 할 4가지 입니다.
우선 구독자 분의 집에 도착하자 밝은 분위기의 한 커플께서 맞이해주셨는데요,
(반려견도 있었어요!)
두 분은 각각 직장이 부천, 강변으로 성북구에서 꽤 먼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와본 적 없는 성북구에 집을 마련하신 이유는
강남 접근성, 학군, 대단지, 교통 등
여러 특징과 호재를 모두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셨어요.
두 분이 집 구하실 때는
어떤 집이 좋은 집인지, 부동산 가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갖고 있는 돈으로 대출을 얼마나 받아야하는지 너무 고민되셨다고 해요.
특히 영끌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부분이 너무 어려워서
(집사는데 드는 돈이 한푼 두푼도 아니고 몇 억씩 소리가 나니까요!)
알아보고 공부하기 시작했다고 하세요.
살면서 이렇게 큰 돈을 쓸 일이 많이 없다고 생각하신 두 분은
많이 알아보고 공부를 하신 끝에 사셨다고요.
(▶︎두 분이 공부하셨던 서울 아파트 내집마련을 위한 기초 강의 확인하기)
현재는 이 집을 사실 때 은행 대출 3.7억 + 회사 대출 2억으로,
총 5.7억을 받아 이자를 160~170만원 상환 중이시라고 합니다.
이에 너나위님은 이렇게 말했어요.
“이 아파트 월세는 아마 100~200만원 사이일 겁니다.
그렇다면 은행이자가 과연 비용이기만 할까요?”
(실제로 찾아보니 해당 아파트 월세는 160만원이었습니다.)
그럼 월세로 사는 게 이득일까요?
아니면 내가 집을 사서 그 대출을 상환해나가는 것이 이득일까요?
같은 돈이 나가도 월세로 살면 내 손에 남는 집은 없지만
집을 사면 대출 상환 후 집이 ‘내 것’이 됩니다.
즉, 100만원대의 이자 비용을 단순히 비용이 아니라 거주비용이라는 것이죠.
너나위님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거주비에 조금 인색한 면이 있습니다.
은행이자는 단순 비용보다 거주 비용에 가까워요.
전세는 공짜라기보다 이자와 내 돈의 기회비용을 바치는 것,
매매는 이자와 대출 원금을 갚는 것이기 때문에
3가지를 비교했을 때 ‘내 집에서 산다는 안정감’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간단한 대화를 마친 후,
그 자리에서 집매매에 대한 질문을 드렸는데요.
너나위님께서 직접 구독자 분의 집을 예시를 들어
집보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셨어요.
0. 집을 볼 때는 처음 들어가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며 본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본 곳, 안 본 곳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보신다고 하셨어요.)
1. 베란다 문, 베란다 장까지 열어서 확인하기
그리고 집을 둘러보는데
특히 베란다를 꼼꼼히 봐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베란다를 열고 베란다 장 문까지 열어보며 꼭 봐야 한다고 강조하셨어요.
(왜냐하면 결로, 곰팡이가 있는 집이 많기 때문이죠.)
2. 우수관 확인하기
이 것은 다른 쪽 베란다에 장이 있다면 그곳 또한 확인하셔야 해요!
또 우수관(雨水管)이라고 하는
베란다에서 빗물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관이 있는데요.
이 관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물이 흐르는 부분은 특히 꼼꼼히 보셔야 합니다.
(방문한 집은 너무 깨끗하게 관리가 잘 되어 있어 별다른 특이점이 없었어요. :) )
3. 세탁기 뒷편 확인하기
다음으로 세탁실이 있는데,
편의상 세탁실 안쪽, 세탁기 뒷부분까지 다 들어가서 봐야 합니다.
좁다고 해서 들어가지 않거나
짐이 많아 들어가기 좀 머쓱해서 보지 않았을 때
그 뒤에 무언가가 있다면 결국 집을 산 후에 내가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에요.
4. 화장실 문 안 쪽의 오염도 확인하기
마지막으로 화장실을 볼 때는 문을 잘 봐야 합니다.
화장실 안 쪽의 문이 물이 많이 닿으면 삭기 때문이죠.
문 안쪽이 오염되어 있는지 아닌지 꼭 살펴 보세요!
(물은 당연히 틀어보시면 좋아요.)
마지막으로 오늘 너나위님을 따라다니면 직접 확인한
“ 집 보러 가서 빼먹지 말고 꼭 봐야하는 4가지! “
한 번 요약해볼게요.
오늘은 너나위님과 함께
구독자 분의 집까지 방문하여
“부동산에 집보러 가서 뭘 봐야 해요?”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꼭 확인해야 할 4가지에 대해 살펴봤어요.
모두 집 보러 갔을 때 바로 활용 가능한 꿀팁들이었죠? 😊
마지막으로,
우리는 전세 살 때는
사실은 내 돈이 묶여있는 것인데 거주비용이 0원이라고 생각할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사실 전세는 2년 후 다시 전세금을 올려줘야 하고
전세금보다 매매가가 빠르게 오르면
나중에 살 수 있었던 집을
같은 가격에 살 수 없게 되는 일도 발생하고야 마는데요.
그래서 부동산 현장에서 꼭 확인해야 할 4가지 외에도
너나위님의 월세 / 전세 / 매매의 3가지 요약을 꼭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월급쟁이부자들은
여러분 모두의 행복하고 안정감 가득한 내집마련을 응원합니다.
내집마련이 어려우시다면?
월급쟁이부자들과 함께해요!
댓글
이 영상보고 매임할 때 유심히 봤어요ㅎㅎㅎ괜히 뿌듯!!! 에디터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정말 이 영상 너무 좋았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 영상 넘나 유용했는데 글로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