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준반 67기 45조 꿈꾸는부엉이]핵심 투자 기준을 알고 비교평가를 할 수 있는 부엉이가 될거에요!

      늦었지만 그럼에도 써보는

      [실전준비반 미리 예열하기!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투자 기준과 Q&A ] 의 뒷북 후기

 

  • 1) 앞마당 만드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수강 신청한 실전준비반 오프닝 강의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앞마당을 만든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살짝 감을 잡게 해주는 오프닝 강의였습니다. ^^

     

     제가 이번 달에 실전준비반을 통해 앞마당을 만드는데 성공한다면

  • 1. 그 지역의 법정동 선호도 우선순위와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2. 각 법정동의 랜드마크 단지의 가격과 높은 선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3. 각 법정동의 핵심 입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사람이 되어있겠군요!!

     오~! 생각만해도 위의 일을 할 수 있는 미래의 제가 너무 멋져요! 

     아주 잠깐은 ‘정말 내가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열기반 수강을 완료한 저는 이제 의심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멘토님들의 강의+따뜻한 조모임만 있으면 비록 완벽하지 않아도 누구든 완료할 수 있다는 걸 알았으니까요.

 

      그리고 오프닝 강의를 통해 한 가지 또 이전의 나를 깨고 나온 점이 있는데 

     저는 지금까지 모든 아파트를 '내 집 마련의 관점으로 보고 있었다는 것' 을 깨달았습니다. 

     투자자로서 아파트를 공부하면서 찾아야 할 단지는 

     내가 오랫동안 살고 싶은 최고의 완전무결한 아파트가 아니고 

     약점이 있어서 모두가 사고 싶어하는 단지 는 아니지만 

     누군가에게는 거주에 꼭 필요한, 그래서  ‘투자하기 좋은 단지’ 를 찾아야 하는 것 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그런 물건을 찾았다면 바로 그 약점이 있었기에 나에게 까지 기회가 올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얘길 들었을 때 머릿속에 아하!! 하는 종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습니다.

  

       지난 달 열기반 시작 단계에서는 ‘뭔가 배워야 하니까 그냥 듣는다. 

      이걸 하면 성장한다고 하니까 일단 해본다.’ 이런 정도 였는데 

      이번 실준반 오프닝 강의를 듣고는 제목 그대로 ‘핵심 투자 기준’을 알아야 하는데 나는 아직 그걸 모르는구나. 

      앞으로 그걸 볼 수 있는 눈을 기르는데 내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겠구나.’ 하는 좀 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이런 목표를 가지고 강의를 들을 생각을 하니 벌써 다음 달의 제 자신이 더욱 기대가 됩니다.    

 

        어떤 요소가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려면 ‘사람들이 실제 그 단지에 이사를 올 수 있을지’ 를 

       파악해야 하는데 소득 수준이나 사업체 수 보다는 종사자 수가 수요와 바로 연결되는 압도적으로 중요한 

       기준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2) 궁극적으로 이 모든 공부는 “투자하기 좋은 단지”를 찾아가는 과정이고 이것은

       ▪ 같은 가격이면 뭐가 더 좋지?

        ▪ 같은 선호도와 가치라면 뭐가 더 싸지?

        이 두 가지만 생각하면 된다. 고 하셨는데 어려운 비교평가를 이렇게 단순하게 말씀하실 때 

       고수의 쿨함이 느껴졌습니다. 

       저도 이번 실전준비반 강의를 듣고 모든 비교평가에서 100점은 아니더라도 

       기준을 가지고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나름의 답을 할 수 있는 정도는 될 수 있도록 

       한달 동안 연습해보고 싶습니다. 

 

        3) 내가 공부하고 싶은 지역 

            양천구 나무위키에서 찾아보기

 

 

  •  

댓글


새웅user-level-chip
25. 04. 07. 13:51

수강 후기 작성하신다고 고생많으셨습니다~ 이번 4월 함께 양천구의 핵심 입지 가치에 따른 단지 선호도 날카롭게 만들어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