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찌롱입니다.
실전반 마지막 자모 멘토님의 강의는 7시간 가까운 긴 시간 동안 진행을 해주셨는데요, 1분도 놓치기 아쉬울 정도로 정말 소중한 얘기들로 꽉찬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특히 단순히 월부인이 아니라 투자자로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태도 관련해서 진심을 다해 말씀해주시는 것을 보면서 선배투자자로써 후배 투자자들을 정말 많이 생각하시는구나 라는 것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강의에서 특히 제 상황에 당장 적용해야 하는 것들 중심으로 후기를 통해 정리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1. 투자의 본질
투자 타이밍을 잡으려고 하는 것, 예를 들면 “전세가가 더 올라오면 소액으로 매수해야지..!”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투기'적으로 투자를 하려는 대하는 것
-> ‘내가 가지고 있는 종잣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시점에 저평가된 물건을 매수하는 것’이 찐투자자의 자세
2. 선호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 순서대로 하는 것이 중요(분임 → 단임 → 매임+비교평가 → 앞마당 매임+비교평가)
-분임 : 생활권 우선순위 파악
-단지임장 : 생활권 내 단지 우선순위 파악
-전체적으로 지역 내 투자금에 맞는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비교평가 후 고르기 (+지역내 매물임장)
-앞마당 내 비교평가를 통해 선호도 우선순위 정하기 (+앞마당 매물임장)
3. 기계적인 단지분석을 하지 않으려면..
-'위치'가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단지 내부만 보고 나오는 것은 선호도 판단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
-연식도 연식 나름. 20년식 이상의 초신축 단지는 위치적인 단점을 압도할 수 있음
-지역마다 상대적으로 판단할 것
4. 전화임장
-공부하는 학생이 아니라 투자자로서 대화할 것
-키워드는 전세
-어떤 이유로 전세입자들이 들어오는지 → 즉, 실거주자들이 왜 이 단지에 살고자 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핵심
5. 투자 실력을 정말로 늘리고 싶다면..
1. 그물을 뿌리는 것 = 전수조사, 시세트래킹 → 수단일뿐! 이것만 한다고 투자실력이 따라오는 것이 아님을 알 것!
2. 물고기를 잡는 것 = 투자 물건 후보 단지 리스트업
3. 고르는 것 = 비교평가
4. 통 안에 넣는 것 = 현장임장
→ 본질은 2,3,4번의 반복
6. 태도의 중요성
-바닥이라고 느낀다면 올라갈 일말 남은 것
→ 올라가려면 마음가짐이 바로 서야 그에 따른 행동을 할 수 있는데 대부분 마음은 챙기지 않는다
-하루 하루 내가 얼마나 쌓았는지를 보기보다, 하루 하루 내가 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에 집중하고 그 해야 할 것들에 최선을 다할 것 (얼마나 쌓았는지 돌아보는 것은 지양할 것)
댓글
모찌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