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part 1.
32p-37p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훌륭한 사람이라고 믿는데 왜 약한 사람을 모욕하고 비하하고 무시하겠는가? 스스로를 못나게 생각하고 자신의 결점을 용서하지 못하는 자존감 낮은 사람들이 오히려 타인을 모욕하여 자신의 상대적 우월감과 존재감을 확인하려 든다.
-자존감이 높아지면 타인을 모욕하지 않아도 스스로가 충만하다. 이런 사람이 타인에게도 관대하다.
-나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남보다 배팅을 잘한다고 한다. 어떻게 내가 그럴 수 있을까? 아마도 내가 나 자신을 충분히 믿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내가 신뢰할만한 꽤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자존감을 높이는 해법은 오직 사랑, 사랑, 사랑이라는 이야기다.
-주변 사람 모두가 나를 싫어하고 무시하고 미워하는데 자존감 높은 사람은 있을 수 없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중받고 사랑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삶에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매사에 남 탓이나 하고 핑계나 대고 불성실하고 방탕한 삶을 사는 사람을 누가 존중하고 사랑할 수 있겠는가? 존중은 스스로 노력해서 얻는 것이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다. 자존감을 높이려면 성실하게 살아야 한다. 남을 속이지 않고 거짓말하지 않고 착하게 살아야 한다. 그래야 자기 자신을 믿을 수 있다. 자기 자신을 신뢰할 때 자존감도 높아진다. 다른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을 위해서 성실하게 살아야 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니 시도하는 게 중요하다. 시도하지 않으면 발전도 변화도 없다. 당신이 좋아하는 일, 잘하고 싶은일을 시도하라. 실력과 함께 자존감이 높아질 것이다.
48p-50p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간관계가 중요하다. 행복은 돈과 지위보다는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에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시기심이 모든 것을 망친다.
-시기심을 느낀다는 것은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상대보다 열등하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기 때문에 스스로도 괴롭다.
-타인을 진심으로 칭찬하고 그의 성공을 축하하라.
-타인의 기쁨을 상상하며 크게 기뻐하는 것은 가장 고차원적인 동물에게만 주어지는 최고의 특권이다.
part 2. 투자에 실패한 당신을 용서하라
69p-75p
-인간은 이 세상을 자신의 인식 한계와 범위 내에서만 이해할 수 있기 떄문에 인간은 각자 자신이 만들어낸 서로 다른 세상 속에서 함 살아간다.
-이처럼 인간은 실제 존재하는 물자체를 전혀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칸트의 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여서 '세계는 나의 표상이다'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자면 세계, 즉 내가 알고 있는 세상은 우리의 감각기관이 인식한 이미지다. 즉, 세상은 내 감각기관과 인식 기관이 받아들인 생각이라는 말이다. 결국 세상은 내 생각이 만들어낸다.
-세상이 좋고 나쁨은 우리의 태도와 해석에 달려 있다. 삶의 의지가 약화되면 자신을 극복하는 투쟁 대신에 안이하게 앉아서 세상을 원망하고 핑계 대고 남 탓으로 정신 승리나 한다. 그래서 니체는 사는 게 힘들다고 느껴진다면 세상을 원망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의지가 약해진 것이 아닌지를 돌아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용기를 내라! 두려움에 굴복하지 말라!
-당신은 두려움을 느끼겠지만 두려움을 정복할 수 있는 심장도 가지고 있다. 또 실패로 나락에 떨어질 수도 있지만 그 또한 긍지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다…당신을 죽이지 못한 것들은 당신을 강하게 만들 뿐이다.
87p
-학벌 콤플렉스가 있다면 그것을 자기 발전의 동인으로 삼으면 된다. 용기를 내서 자신을 일으켜 세워야 한다. 낙담하여 주저앉으면 절대로 달라질 수 없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92p
-상처를 준 부모를 용서하기란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이고 어떤 경우는 정말 용서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그러니 용서하지 못했다고 해서 죄책감을 가질 필요도 없다. 정말 이해할 수 없는 부모도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용서를 통해서만 우리는 과거의 감정 속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되찾을 수 있다. 그러니 자신을 위해서 용서하려고 노력하라.
96p
-사람은 배가 고프면 일을 할 수 없다. 정서적 결핍도 배고픔과 다르지 않다. 정서적으로 충족되지 않으면 돈 버는 일에 집중할 수 없다.
106-107p
-독서란 무엇인가? 스스로를 교육하는 것이다. 가난을 탓하기 전에 자신의 머리가 빈 것은 아닌가 먼저 의심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성공으로 가는 길을 트기 위해 인맥을 쌓으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인맥을 쌓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 내가 선을 타고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선을 연결하는 하나의 점이되는 것
108p
-30대는 인생의 승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다. 30대는 농부가 씨를 뿌리는 인생의 봄철과 같다.
-머리가 팽팽 돌아가고 열정이 가득한 30대를 화려한 소비로 소진하면 노년에 수확할 것이 없다.
-30대의 열정이 언제까지 있을 거라 착각하지 말라! 열정은 봄날 눈 녹듯이 사라진다.
134p
-충분한 자산과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전에는 직장을 다니는 것이 좋다. 그냥 돈을 벌기 위해서 일한다고 생각하지 말고 내가 맡은 분야에서, 시장에서 1등이 되어 보자. 언젠가는 독립해서 내가 지금 하는 분야에서 회사를 차려야겠다 하는 마음가짐으로 일하라. 그러면 일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어쩌면 일이 재미있어질 수도 있다.
part3. 머릿속 생각기계를 가동하라
145p
-당신이 그렇게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면, 또 돈을 좋아한다면 왜 부자가 못 되었는지에 대해서 필사적으로 해명해야 하는 사회가 자본주의사회다.
-르상티망이 무엇인가? '원한 감정' 이다. 다수의 패배자는 소수의 성공자에 대해서 원한, 시기심, 질투심, 증오심을 가진다고 니체는 말했다. 니체는 르상티망을 가진 열등한 다수가 '가치 전복'을 꾀한다고 주장한다.
156p
-성공한 사업가들은 성공하는 법을 책과 대학이 아니라 인생 학교에서 배운다.
-그러나 자본주의 세상에서 부자는 타인에게 더 많은 만족과 행복을 준 사람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부는 성적순이 아니다.
161-162p
-생각기계를 발전시켜 자신만의 투자법을 찾아라
-누가 잘한다고 따라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본인의 발전에 독이 된다.
-권위나 명성이나 관습이나 전통을 무조건 따르지 말고 오직 진리 그 자체만을 추구하라.
165p
-인간은 감정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폭넓은 사고를 하기 어렵다. 또 스트레스를 받으면 큰 문제를 보지 못하고 지엽적인 문제에 매달려 반복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실제로 가난한 사람들을 조사하면 그들의 사고는 근시안적이고 지엽적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 인간은 한 번 가난에 빠지면 가난에서 벗어나기가 무척 어렵다.
218p
-인간은 평등하다. 하지만 인간의 지성은 결코 평등하지 않다. 그러니 거인에게서 배워야 한다.
-거인들의 아이디어 따위는 필요 없이 혼자서도 성공적인 투자 방법을 알아낼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당신이 혼자서 알아낸 투자 방법도 알고 보면 오래전에 거인들이 말한 아이디어에 불과하다. 그래서 거인들의 책을 읽는 게 중요한 것이다.
댓글
꽃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