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월부학교 봄학기 몽~가 부내나는 4제지간_쪼코파이a]대단지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

  • 25.04.09

안녕하세요.

자유를 사기위해 한발짝씩 성장하고 있는 쪼코파이a입니다.

 

어느덧 25년의 따뜻한 봄의 날씨가 찾아오고 있는 지금,

부동산 시장은 아직 찬바람이 부는 듯한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투자자인 우리는 사람들의 아파트 선호요인들이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언제 그 훈풍이 선호요인들을 부각시킬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번 아파트 선호요인 중 하나인.

대단지 아파트 선호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대단지의 기준.

대단지의 기준이라고 한다면, 사실 주관적인 부분이 속해있지만.

 

통상 1000세대 이상의 규모에 선호도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1000세대 이상을 대단지로 많이 불리는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대표되는 대단지의 세대수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올림픽파크포레온(12,032세대)

헬리오시티(9,510세대)

파크리오(6,864세대)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6,702세대)

잠실엘스(5,678세대)

 

서울에서의 대표되는 대단지의 규모로 5순위까지 모두 선호도가 높은 단지들입니다.

 

-커뮤니티 및 의무화

우선, '아파트'라는 주택에 장점이 되는 것 중 하나인 '커뮤니티'

특히 각각의 세대수에 따라 커뮤니티 규모도 달라진다라는 겁니다.

주택 건설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주민 공동시설 의무 설치가 있습니다.

 

주민 공동시설의 종류

-경로당,어린이놀이터,어린이집,주민운동시설,도서실(작은도서관 포함),주민교육시설,청소년 수련시설

주민휴게시설,독서실,임주자집회소,공용취사장,공용세탁실,단지 내 사회복지시설

다함께돌봄시설,공동육아나눔터,그 밖에 사업계획의 승인권자가 인정하는 시설

그렇다면, 주민공동시설 의무 설치 기준 및 인증제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 전문 관리인을 의무로 둬야 한다.

-경로당,어린이 놀이터

 

300세대 이상

-매년 1회 이상 회계 감사를 받아야 한다

(전문적 관리와 지자체의 관리를 받기 위해선 300세대 이상이 되어야함)

-경로당,어린이 놀이터,어린이집

 

500세대 이상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의무

-주택단지 안 어린이 통학버스정류장 설치 의무

-벽체의 접합부위, 난방설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창호는 결로방지 성능을 갖춰야 한다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의무

-초등 돌봄시설 설치 의무

-범죄예방 cctv, 조명 설치 의무

-주민운동시설, 작은도서관, 다함께돌봄센터 설치 의무

-오염물질 등을최소화할 수 있는 건강친화형 주택으로 건설 의무

 

1000세대 이상

-장수명 주택 인증 의무

※장수명 주택이란 : 아파트 수명을 100년을 목표로 특특하고 수리하기 쉽게 지은 주택

 

2000세대 이상

-유치원 설치 의무(단지로부터 300m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는 제외)

 

4000세대 이상

-초등학교 설립 가능

세대수에 따라 각각의 의무 설치 기준과 인증제도가 다르다는 걸 알수 있고

이러한 절차들로 세대수가 커질수록 안정성 편의성이 더해지는 걸 알수있습니다.

특히 요즘 신축들의 커뮤니티시설의 프로그램 구성은 법적 의무시설을 넘어 추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ex) 스포츠 존: 피트니스 . GX, 실내골프장, 탁구장, 당구장 , 클라이밍, 수영장, 사우나,멀티코트 등

컬처존: 아트센터, 취미실, 스튜디오, 시네마룸, 다목적실 등

에듀존: 다함께돌봄센터, 작은도서관, 방과후교실, 독서실, 그룹스터디룸 등

오피스존: 관리사무소, 공유오피스, 비즈니스룸, 입주민회의실, 직원휴게실 등

패밀리존: 어린이집, 경로당, 게스트룸, 레스토랑, 맘&키즈카페, 물놀이터, 카페테리아, 코인세탁실,

평생교육실, 펫파크 등

 

 

 

 

QUIZ .

간혹 맞이하게 되는 999세대의 단지들. 이유는?

 

 

-가장 큰 이유는 장수명 주택 인증제도 때문입니다.

장수명 주택 인증제도는 수명 100년을 목표로 내구성, 가변성, 수리 용이성을 검사해

일반등급을 인정받아야 하며 우수등급을 받을 시 건폐율, 용적률, 고도제한등을 10% 늘릴 수 있는

혜택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등급이상 인증을 받기 위해선 초기 공사 비용이 최대 6%까지 상승하기에

단지를 건설하는 입장에서는 세대수를 줄이고 인증을 받지 않는 방법을 선택을 하는 겁니다.

 

-장/단점

마지막으로 대단지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점.

편의시설 및 인프라

앞서 본 주민공동시설 정도와 커뮤니티 프로그램 구성 등이 대단지일수록

다양하며 잘 갖춰져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세대수에 따른 주변 상권, 학교 등 인프라가 잘 조성될 수 있습니다.

 

 

 

 

 

낮은 관리비

세대수가 많을 수록 세대당 관리비가 낮아집니다.

(다만, 시설물에 따라 상이할수도 있습니다)

 

 

높은 환금성

세대수가 많을 수록 매매거래량이 더 늘어나며 그에 따른

매수/매도의 회전율이 좋습니다.

 

 

 

지역의 랜드마크

대단지를 넘어선 메가급 단지의 경우 그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단점.

주변 교통 혼잡.

많은 세대수가 입주함으로써, 주변 교통 등 제반시설이 확충되지 않는다면

교통체증이 심해져 불편함이 더해질수 있습니다.

 

각종 마찰

세대수가 많아짐으로써 단합을 통한 일에 대한 진척이 어려울수 있다라는 겁니다.

이렇게 대단지에 대한 선호이유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가격결정 요소 중 하나인, 아파트에 대한 상품성(연식,세대수)의 선호도가 중요하지만

오직 이 하나의 요소만으로 가격이 결정지어 지진 않는다라는 건, 명심해야겠습니다.

 

특히, 대단지 아파트에서 각 '동'별 가격차이가 난다라는 것 역시 주의 해 보면서 함께 공부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상아쀼
25. 04. 09. 22:00

우와 세대수별로 의무화 되어있는 것들이 있는지 몰랐어요! 쪼코님 덕분에 하나 알아갑니다~! 도움이 되는 나눔글 감사해요!!!

퍼런하늘
25. 04. 09. 22:05

그렇겠거니~하면서 알고는 있었지만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았고, 정리해보지도 않았는데.. 이렇게 쪼꼬님께서 정리해주신 덕분에 제 머릿속에도 정리 딱딱 해놓게 되네요🌞 너무너무 유익한 글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효집creator badge
25. 04. 09. 22:06

우와 쪼코님 대단지 특징!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