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시절☆ 제육백반 3,000원?! 순풍산부인과로 알아보는 물가와 전세 이야기 (feat. M2 통화량) [스리링]

 

 

 

 

안녕하세요, 

스리링입니다.

 

 

저는 요즘 저녁 식사와 함께 ‘순풍산부인과’나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같은 시트콤을 보는 게 인생의 낙이에요.

 

 

혹시 알고 계셨나요?

 

 

순풍산부인과는 “서대문구 홍제동

웬그막은 “동작구 신대방동

거침없이 하이킥은 

동작구 흑석동”이 배경이라는 사실!

 

레전드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속 실제 집 장소.jpg - 삭제게시판 - 樂 SOCCER

 

지금은 고층 아파트 단지로 

변해버린 이 동네들이

과거에는 시트콤 속 ‘중산층의 일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택가였다는 

점이 참 재미있지 않나요?

 

 

사람들이 생활하는 양상과 웃음코드는 

그때나 지금이나 사실 별반 다를 게 없지만

 

 

아주 큼지막한 CD 플레이어를 듣는다거나

 

(민정이가 쓰는 CD 플레어어..☆)

 

 

핸드폰이 아닌 집전화로 전화를 받는다거나

무엇보다 물건 가격을 보면

 "와, 진짜 세월 많이 흘렀구나" 

싶은 순간이 많습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그때 그 시절의 물가 이야기

 함께 떠나 보게씁니다아!

 

 


 

 

1 그때 그시절의 물가

 

 

순풍산부인과 “절.대 사주지 

않는 구두쇠 영란“편에서

영란, 김간, 표간은 함께 

제육 백반을 먹으러 갔습니다.

 

 

 

 

 

맛있게 먹고 나오면서 영란은 얌체같이

 자기 몫만 결제하고 휙 떠나는데요~

 

 

 

 

 

🙋🏻‍♀️김간: 사장님 총 얼마죠?

 

 

💁사장님: 총 9,000원입니다.

 

 

 

????????????

 

 

무려 20년 전에는 

제육백반 1인분삼천원이었다는 사실!

 

물가가 10년마다 2배씩 오른다고 하던데...

 

정말 일까요?

 

 

 

 

 이어서 이들은 롯*리아 햄버거도 시켜 먹는데요!

 

 

햄버거 세트 가격은 얼마였을까요?

 

 

 

 무려 햄버거 1,300원 + 콜라 800원..

 

➡ 총 2,100원 (허간GPT 빠르게 계산중..)

 

햄버거 세트 가격이

이천원이었다는 사실!
 

순풍산부인과가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편성됐으니

 대략 20년 전으로 잡아보면!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제육 백반 1인분은 만이천원 정도 하고

 

(최근..)

 

 햄버거 세트로 했을 때 7-8천원 정도니 

정말 4배 이상 오른 셈이네요 (ㅎㄷㄷ)

 

 


 

 

2 실제 데이터를 보면?

 

 

실제 검증을 위해 

한국은행 > 금융경제스냅샷 M2 통화량도 

살펴보겠습니다.

 

https://snapshot.bok.or.kr/dashboard/A5

 

 

 

2000년 1월 674.7조

2010년 1월 1576.0조

(2015년 1월 2094.3조)

2020년 1월 2931.5조

2025년 1월 4203.8조

 

 

 

​2000년 1월부터 2025년 1월까지의 

M2 통화량의 연평균 증가율(CAGR)을 

계산하면 약 7.59%

 

이는 해당 기간 동안 M2 통화량이 

매년 평균적으로 

약 7.59%씩 증가했음을 의미해요.

 

최근 10년을 봐도 

2015년 1월부터 2025년 1월까지

 M2 통화량은 100.74% 증가했는데요.

 

이는 최근 10년간 M2 통화량이 

두 배로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10년 뒤인 

2035년에는 어떨까요?!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면

2035년 M2 통화량은 약 8,736.9조원

 이를 것으로 예상돼요.

 

즉, 시중에 도는 돈이

 2배가 더 많아진다는 이야기입니다.

 

 


 

3 그렇다면? 전세가도?

 

 

전세도 당연히 주거비라는 면에서 

생활물가에 포함되는데요!

 

아래의 단지를 예로 들어볼게요.

(실준에서 다뤄준

 두 대표 단지를 뽑았습니다!)

 

영등포삼환 59는

 

2015년 매매 3.2/전세 2.6

2025년 매매 9.85/전세 5.5

 

 

 

 

그래프 전세 증가율을 보시면 

전세는 무려 2.9억(113%)이 올랐습니다.

 

2015년 매매가를 전세가가 넘고도 남았네요.

 

 

 

영등포구만 그런걸까요?

 

 

 

 하나 더 가져와 볼게요!

 

 

동대문구 전농SK 59는

 

2015년 매매 3/전세 2.3

2025년 매매 7.4/전세 4.4

 

 

 

전세는 2억(83%)이 올랐습니다.

 

전농SK도 전세가가 

2015년 매매가를 훌쩍 넘었습니다

 

 

그렇다면 2035년에는…?

 

 

우리나라가 망하지만 않는다면(!)

 

이 전세가들도 슬그머니 

10억을 넘보게 되지 않을까요~?

 

 


 

 

 매매 3억/전세 2억이 정말 비싸다!

 싶던 시대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가격이 ‘싸다’는 

소리 듣는 세상이 되어버렸습니다.

 

햄버거 2,100원이 비싸다고 느껴지던 시절,

지금은 그 가격으론 

감자튀김도 어려운 게 현실..ㅠ..

 

008에 있는 メA R I E S ツ님의 핀 | 웃긴 밈, 재미있는 이모티콘, 감정 활동

 

 

결국, 우리가 알 수 있는 건

돈의 가치는 시간이 흐르면서 바뀐다는 건데요.

 

우리가 버는 월급도

저축하는 예금도

살고있는 집값도

모두 변하는 돈의 가치 

위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거죠..!

 

언제나 우리 곁에서 

함께 흘러가서 잘 못느끼지만

문득 돌아보면 그 사이 

참 많이 변해 있는 것 같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오른 것 같아도

늘 옆에서 조용히, 꾸준히 바뀌고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자주 들여다보고 

공부해야 하는 것 같아요.

 

 

재미로 풀어본 그때 그 시절 물가 이야기
여기서 마무리하게씁니다 -

 

 

 

오늘도 빠이팅하세요! ♡

 

 

+

동료분들.. 모른척 하지 마세요

저희 원팀이잖아요..

 

 

 

 


댓글


부마니user-level-chip
25. 04. 10. 15:39

오오 링님 너무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확확 들어오네요!!

호요user-level-chip
25. 04. 10. 15:56

우와, 머리에 쏙쏙 들어왔어요! “10년 동안 물가가 2배 올랐다”는 말은 기사나 강의에서 자주 들었지만, 항상 좀 막연하게 느껴졌거든요. 그런데 익숙한 시트콤 장면을 통해 비교해주시니까 정말 확 와닿네요. 그때 그 시절의 상황과 지금을 나란히 보니, 물가 상승이 숫자가 아닌 ‘생활의 변화’로 체감되는 것 같아요.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게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카인user-level-chip
25. 04. 10. 16:09

저는 MZ라 잘 모르는 드라마지만 물가상승이 뭔지 와닿네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미달 의찬 정배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