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27기 59조 D셈버] 1주차 강의 후기

  • 25.04.10

안녕하세요? D셈버입니다.

지방투자기초반은 타 강의와 마찬가지로 역시나 처음입니다. ㅎㅎ

당장 서울 앞마당이 필요하지만 지방투자기초를 배우면 비교평가나

투자에 대한 안목을 더 넓힐 수 있지 않을까 싶어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는데요.

역시나 참 잘 수강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1주차 강의를 통해 지방 투자에 대한 실질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소액으로도 가치 있는 단지를 찾는 법과 투자 기준을 명확히 세우는 법을 배운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지방투자는 수도권 투자와는 확연히 다른 접근이 필요하며,

지역별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깊게 와닿았습니다.

 

인상 깊었던 점은

지방 투자의 핵심 기준인 ‘수요, 건물가치, 선호도’를 중심으로 한 설명이었습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고,

땅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새로웠습니다.

그동안 배워왔던 서울, 수도권과 다른 접근방식이었으니까요.

또한, 지역 내 학군과 커뮤니티가 지방에서는 입지 독점성을 좌우한다는 분석은

기존의 투자 관점과는 다른 차원에서 지방을 이해하게 해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광주를 사례로 들면 지역별로 면학 분위기나 신축 선호도,

그리고 전세가의 안정성이 높은 점을 강조하며 

구체적인 투자 전략을 제시해 준 점이 좋았습니다.

특히 광주의 투자 범위를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세분화하여

알려주셔서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실전 투자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

 

적용할 점으로는

1. 투자 범위 설정
지방 투자에서 '입지보다 가격'이라는 원칙을 다시금 새기게 되었습니다.

좋은 입지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비싸다면 과감히 포기하는 결단력도 필요함을 배웠습니다.

제 투자금에 맞는 신축 저평가 단지를 찾는 연습을 반복적으로 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특히 전세가 상승 지역과 매매지수 흐름을 분석해 투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직접 실행해볼 계획입니다.

2. 선호도 파악 방법
'전화임장'과 커뮤니티 활용을 통한 선호도 파악법은 맘카페나 직방, 호갱노노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단지별 선호도를 세부적으로 조사햤었던 방법인데 전화임장은 경험이 많이 피요함을 느낍니다. 경험을 축적하며 해당 지역의 분위기와 흐름을 느끼는 방법도 중요한 점으로 새겨졌습니다.

3. 지역 분석 능력 강화
지역별 매매와 전세 상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학군, 환경, 공급, 교통 등 다양한 기준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 연습을 꾸준히 할 것입니다.

광주의 사례처럼 지역 내 특성을 비교하는 데 집중하며,

해당 지역의 투자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과거 시세 변화와 수요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겠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배운 내용을 토대로 제가 관심 있는 지역과 단지들을 분석하며,

소액으로도 안정적이고 가치 있는 투자를 실현하고 싶습니다.

화이팅!!!


댓글


스프링북
25. 04. 10. 19:22

1주차 강의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