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실 최고가 아파트 순위분석 활용법(feat.시세분석 꿀팁) [부자팡팡]

 

안녕하세요~!

지투기 27기를 함께하고 있는

3년차 신혼부부 투자자

부자팡팡입니다🙂

 



이번 2주차 시세분석 파트에서

꼭 적용해보셨으면 하는

아실 아파트 순위분석 활용방법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 TOP10 아파트의 위치와 특징

 

✅ 평형 및 기간 설정 방법

 

✅ 과거 시기별 랜드마크 변화 확인



 

처음해보시는 분들 위한 글이니

참고해주세요 ㅎㅎ

 

 

 

🍳TOP10 아파트의 

위치와 특징 확인

 

제가 활용하는 장표부터 바로 소개드려봅니다!

(혼자 작성해본 예시장표이기 때문에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ㅎㅎ)

 

 

 

 

이렇게 아실에서 최고가 TOP10 단지를

지도 위에 직접 올려봄으로써

해당 단지의 위치, 주변환경, 단지 특징들은

무엇인지 있는지 계속해서 고민해봅니다.

 

자주 등장하는 동네는 어디인지❓

이 동네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등등

 

해당 임장지의 최고가 아파트를 통해

공통적인 요소들을 분석해봄으로써

해당지역의 핵심가치 요소에 대해 파악해봅니다.

 

 

 

🍳최고가 아파트 순위는 

어떻게 검색하나요?

 

 



아실 사이트 순위분석 접속

 

1)임장지 지역 선택

 

2)기간설정: 시작일자를 20~21년사이로 설정

 

각 지역마다 전고점의 기간이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으로 5년이내에 이전 상승장이 포함되어있으므로

20년~ 21년 사이를 설정합니다!

 

3) 평형: 84와 59로 각각 설정

 

국민평형인 84와 59

가족단위가 많이 찾는 평형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니즈를 찾을 수 있고

 

여기에서 추가로 

평형을 전체평형으로 해보면

해당 지역에서 

부자들이 좋아하는 곳이 어딘지

구별 소득수준, 구매력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 아실 최고가 분석을

보통 시세분석에서 활용했었는데요.



이번 지투기 2주차 잔쟈니 튜터님 강의에서

입지분석 요소 중 ‘환경’ 분석에서도

비슷한 관점으로 활용할 수 있더라구요!

 

혹시 지난 주 입지분석에서 

놓치신 분이 있다면

이번 주 시세분석에서 

꼭 활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과거 시기별 최고가 아파트

(랜드마크) 변화

 

 

 

마지막으로 기간별로 쪼개서 

최고가아파트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지역내 생활권내

랜드마크 아파트의 변화추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거주민들의

선호요소를 파악해볼 수 있는 데요~!

 

혼자 작성해본 예시장표이기 때문에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ㅎㅎ

 

 

기간설정은 1년별로 2년별로 

정해져있다기 보다는 

2~3년정도로 기간을 설정해보면서

큰 변화가 있는 시기들 위주로

예시처럼 검색해서 생활권을 구분해보시고

특징들도 체크해보는 장표입니다.

 

앞서 TOP10과 마찬가지로 

 

자주 등장하는 동네는 어디인지❓

오래전부터 좋아하는 부촌이 있는지❓

신축이 등장하면 바로 선호도가 밀리는지❓

어느 정도 연식이 지났을때 순위가 밀리는지❓

 

변화 과정들에서 보이는

해당 지역 사람들의 가격결정 요소들을

고민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한 분에게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글 마치겠습니다 :)

 

2주차 시세분석 화이팅입니다❤

 

 

 


댓글


슬로퀵user-level-chip
25. 04. 14. 07:41

단순히 84로 셋팅하고 보는 게 아니라, 년도 기간을 길게~ 전체 평형으로 보았을 때의 접근법도 좋네요! 다양한 관점으로 볼 수 있어 좋습니당

무지개크레파스user-level-chip
25. 04. 14. 08:13

와!!! 동료들이 많이 쓰는 장표라 궁금했는데 이런뜻이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성공한알밤user-level-chip
25. 04. 14. 08:14

기간별로 랜드마크를 확인해보는 방법 너무좋습니다 팡팡님 💛 지방에서 어떤 선호로 랜드마크가 변하는지 파악할 수 있어서 너무좋습니다!! 최고가로 파악할 수 있는 점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