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마감임박] 5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의 언어
독서리더, 독서멘토

총점 : 7점 * 다른책을 읽고 다시 한번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러면 보이는 것이 또 달라질 것 같은 느낌
주식이란 그 회사의 일부분을 소유하는 것이다. 회사의 가치는 미래에 창출할 수 있는 모든 현금 흐름이다.
내가 그 주식을 사는데에는 많은 분석이 필요하다. 경제적 해자를 갖출 수 있는 기업을 찾으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얻을 것이다. 해자가 없는 기업은 다른 기업과 경쟁력이 약해져 언제든지 공격을 당할 수 있다.
#경제적 해자 #주식 분석 도구 #미래의 가치 (현금흐름)
[1장 : 무너지지 않는 기업의 비밀]
#주식이란?
#경제적 해자
[2장 : 거짓 경쟁력에 속지 말라]
#해자
[3장 : 첫 번째 해자 - 무형 자산]
#브랜드, 특허, 라이선스
[4장 : 두 번째 해자 - 전환 비용]
#전환 비용
나의 정리 : 예를 들어 음식점은 맛이 없으면 다른 곳을 가면 된다. 즉 전환 비용이 딱히 들지 않는 것
하지만 금융사로 예를 들면 주거래 은행을 A로 쓰다 B로 바꾸고 싶다 A→B로 바꾸게 되면 자동 이체 등 모든 작업들을 다 B로 바꿔야 한다. 즉 전환 비용이 많이 들어 귀찮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바꾸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다. 전환 비용이 많이 드는 기업은 해자를 가진 기업이다.
[5장 : 세 번째 해자 - 네트워크 효과]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사용자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네트워크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Ex) 신용카드, 온라인 경매 등
[6장 : 네 번째 해자 - 원가 우위]
#프로세스, 위치, 자원
[7장 : 작은 연못의 큰 물고기]
#규모
규모가 상당히 작은 회사라도 경쟁사보다 규모의 우위가 훨씬 크면 상당히 견실한 해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 규모의 우위를 이해하려면 고정 비용과 변동비용 간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 비용 : 임대료, 전기료, 직원 급여 / 변동 비용 : 상품의 도매가격, 보상 비용 등
즉 변동 비용에 비해 고정 비용이 높을수록 규모의 이점이 더 커지기 때문에 그 산업은 더 견고한 영향이 있다.
[8장 : 침식되는 해자]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9장 : 해자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산업
어떤 산업에서는 다른 산업보다 더 쉽게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다.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높은 장애물을 극복해야만 하는 산업에서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을 찾는 것보다 그리 높지 않은 장애물만 넘으면 성공할 수 있는 산업에서 좋은 기업을 찾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안다.
[10장 : 뛰어난 기수라는 환상]
#경영진
[11장 : 진가를 발휘하는 기업들]
#해자 판단 과정
3단계 : 경쟁력은 얼마나 강한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 될 가능성이 있는가?
→ 있다면 넓은 해자 없다면 좁은 해자
1~2단계 하나라도 NO라면 해자 없는 기업임.
[12장 : 해자의 가치는 얼마인가]
#투기가 아닌 투자하라
성장과 배당에 의해 결정되는 투자 수익 그리고 주가 수익비율의 변화에 의해 결정되는 투기수익이 있다.
투자 수익은 기업의 재무 성과를 반영하고 투기 수익은 다른 투자자들의 수와 변덕을 반영한다.
가치형가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당신은 부정적인 투자 수익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투자자들의 기분이 바뀌어 자신의 투자 성과가 상처를 입을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다.
시장이 엄청난 투기 수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기대로 주식을 사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13장 : 주식을 고르는 도구들]
#PSR : 주가매출액 비율
#PBR : 주가순자산비율
#성공 확률 높이는 5가지 방법
강인해져라 우리가 투자해야 하는 바로 그 때 세상은 우리에게 투자하지 말라고 말을 할 가능성이 높다.
뉴스가 좋지 않고 투자자들이 과잉 반응을 할 때 주식가격은 싸진다.
[14장 : 언제 매도할 것인가]
#매도하기 전 자신에게 질문하기
질문 내용 (질문 전제 조건 : 책에서 나온 도구들을 사용하고 분석하였다.)
하나라도 대답이 Yes가 안나온다면 매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회사의 가치가 하락하지 않았다면 단순 주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매도하는 것은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다.
역으로 주식의 가치가 갑자기 치솟았다고 주식을 매도하는 것도 맞지 않는다. 다만 회사의 가치가 주가와 동시에 증가하지 않았다면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주식은 그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이다. 주가의 움직임은 EPS x 주가수익비율이다.
그렇다면 기업을 소유했는데 기업의 성과가 아닌 시장의 엄청난 투기 수익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이 옳은가?
경제적 해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업들은 단기 성장은 할 수 있을지라도 장기 성장은 힘들다.
같은 산업 내 다른 기업들이 모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21) 훌륭한 기업은 주위에 깊은 해자를 두른 견고한 성과 같다 -웨렌 버핏
댓글
나에게투자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