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준67기 부의 4다리 타러 영등포 착6하조 스리링] 물리적 위치가 중요해요

 

안녕하세요,

스리링입니다.

 

이번 2주차 유디 튜터님 강의도 정말 알차고 유익했습니다.

 

임보 쓰는 법부터 우리가 왜 입지 분석을 하는지까지
임보를 제대로 뿌셔보는 시간이었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 한 가지 명확하게 와닿았던 건

 

부동산 투자는 결국 ‘많은 사람들이 살고 싶은 곳’을

찾는 게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깨달은 점 2가지와

BM할 사항 위주로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물리적 위치의 중요성

 

강의 중간에, 유디튜터님께선 다년차 투자가가 되고 나서야 느끼는 점으로

“물리적인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해 주셨었는데요.

 

강남과의 접근성을 단순히 교통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카카오맵으로 거리를 찍어봤을 때 물리적인 위치도 중요하다는 말씀이었습니다.

 

강남과 물리적 위치가 가까운 곳은

지금은 당장 환경이 별로더라도

미래에는 바뀔 수 있다는, 그리고 그럴 확률이 높다는 게 인상적이었어요.

 

그간 단지 비교평가를 할 때 간과하고 있었던 점인데요.

실전반 때도 튜터님께 같은 말씀을 들은적이 있어서 더 깊게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상위 생활권 최하위 단지 vs 하위 생활권 최상위 단지

 

또 하나 인상 깊었던 포인트는
 

상위 생활권의 최하위 단지와
하위 생활권의 최상위 단지가 맞붙었을 때
오히려 하위 생활권의 단지가 더 좋은 성과를 보였던 실제 사례들이었다는 점이에요.

 

저는 늘 비교 평가를 할 때,
“그래도 이 생활권이 더 좋지 않을까?”,
“상권을 공유하니까 단지가 조금 약해도 괜찮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곤 했는데요.

 

이제는 그 편견을 조금 내려놓고,
하위 생활권에 있는 좋은 단지들도 충분히 눈여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의 내용 속 BM 포인트도 따로 정리해보았습니다.

BM 요소

 

  1. 공급 (시단위 평가) - 공급부분이 살짝 약한데, 수도권 공급 캘린더를 만들어보고자 함
  2. 가설 검증 - 9호선 vs 5호선, 역세권 나홀로 구축 vs 비역세권 균질한 구축
  3. 과거 시점 조사 - 과거 정답지를 통해 어떤 특성을 가진 단지가 많이 올랐는지 확인

 

강의 마지막에 유디 튜터님께서 

전해주신 이 말씀은
마음 깊이 새기고 싶습니다.

 

"투자자는 모두가 두려워할 때 용기를 내고,

모두가 파티를 할 때 두려워 해야 한다.
파티하는 순간을 조심해라"

 

단기적인 분위기에 흔들리지 않고
늘 이성적인 시선으로 시장을 

바라볼 수 있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댓글


스리링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