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 약속된 일요일 21시에 진행된 2주차 조모임에 참석하였습니다.
전날도, 조모임 당일도 단지 임장이 있었지만 모두 참석하여 인증한 뜻깊은 조모임이었습니다 !
강의를 들을 때에 입지분석시 일자리가 집값과 관계가 있다는 말을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일자리 종사자수와 땅값/부동산 가격은 비례: 해당 지역에 일자리가 있다고 하여 모든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사는 것이 아닌데, 왜 일자리가 집값과 관계가 있지 ??
-. 소득 높은 일자리가 많을 수록 구매력이 높고 집값에 영향을 줌: 소득 높은 일자리가 많다고 하여 그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사는 게 아닌데, 오히려 해당 지역 상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유추할 수 있겠는데 왜 집값에 영향을 주지 ??
라는 생각의 흐름으로 의문을 가졌는데, 조장님께서 친절히 설명해 주셔서 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 직장이 있는 곳에 사람들의 거주 수요가 몰리며 수요공급원리에 따라 집값이 상승하게 됨
-. 해당 지역의 가격이 비싸서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깝게 출퇴근할 수 있게 그 주변 지역으로 수요가 퍼져나감 (강남 그리고 그 인근)
+ 양질의 일자리 종사자 유입이 꾸준한 지역은 추후 집을 매수할 가능성이 높은 수요층까지 뒷받침 가능하여 향후 가격 상승까지 기대해 볼 수 있음
객관적인 지표를 너무 단순하게 생각한 것이 강의 내용의 이해를 막는 부분이었던 것 같고, 다른 지역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넓게 보는 시각이 중요하구나를 깨달았습니다 (세상은 왜이렇게 복잡한 걸까요 ..). 또한 추가로 얘기가 나온 강의를 들을 때 앞으로 적용할 부분을 잡아보는 것과 목실감을 써보는 것도 앞으로 신경써서 해봐야겠다고 생각들었습니다.
3주차도 화이팅 !
[나에게 적용할 점]
군데군데 흩어져있는 루틴 목록과 일기를 취합하여 목실감 양식에 꾸준히 적기
댓글
깜냥님 조모임에서 가지고 있던 궁금증을 해결하셔서 다행입니다 ~! 강의를 듣다보면 맞아 맞아라고 하면서 실제로 혼자 분석해볼땐 어려운 부분들이 많죠 ㅎㅎ 저도 너무 공감합니다 ㅎ그 요소들이 어떻게 투자랑 이어질지 고민해보는게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ㅎ 꾸준한 목실감 작성도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