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23 빛경 실전투자경험담 필사

인테리어 1000만원 아끼는 법_업체선정편(+견적 요청서 양식 첨부) - 바다고래님

 

📌 업체 선정도 무조건 10군데 이상 비교평가

📌  견적서는 첨부해주신 양식 참고해서 같은 기준으로 보내기

📌  선정된 4-5곳을 직접 현장에 불러 오프라인 미팅

📌  사장님 성향도 잘 맞는지 확인하기

📌  코크드림님 인테리어 강의 듣기

 


 

저는 1호기를 할 때 체리톤을 화이트톤으로 변경하는 인테리어 그리고 2호기 투자 하며

샷시포함 특올수리 인테리어를 하였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복기해보며 배운 경험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인테리어에 대해 전혀 경험이 없으시다면 

대략적인 단가, 공정프로세스, 유의사항 등을 전반적으로 공부하기에

코크드림님의 인테리어 강의를 필수적으로 수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말정말 명강의입니다 ㅎㅎ

 

저는 경험을 토대로 인테리어의 여러 과정 중 아래 과정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인테리어 후보 업체 선정 방법
  2. 견적서 요청 및 비교
  3. 오프라인 현장 미팅 및 인테리어 업체 최종 결정

 

[인테리어 후보 업체 선정 방법]

인테리어 업체 선정의 경우 기본적으로 견적을 최소 10군데는 받아보길 추천드립니다.

(전임의 힘이 쌓아왔던 비교평가의 힘이 여기서도 발휘됩니다!)

저도 마지막 10번째 업체에서 다른 9군데와 달리 1000만원 낮은 견적을 받게 되었거든요.

 

그럼 이 업체들을 어디서 찾아보면 좋을까요?

 

  1. 부동산 사장님 추천

거래를 진행한 부동산 사장님을 통해 괜찮은 인테리어 업체를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은 지역 내 근처에 있어 향후 A/S가 편하다는 점,

무엇보다 믿고 일을 진행할 수 있는 신뢰가 있는 업체라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2. 지역 인테리어 업체 검색

네이버 지도에 ㅇㅇ구 인테리어를 검색하면

그냥 화장실 수리만 하는 인테리어,

혹은 토탈 인테리어업체등 다양하게 뜹니다.

아파트 시공을 위주로 한 리뷰가 있고

사진이 있는 업체를 골라내어

전화를 드려 그 중에서도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업체를 골라냅니다.

 

3. 숨고 어플 이용

저는 이번 2호기 인테리어의 경우

최종적으로 숨고를 이용해 업체 계약을 진행하였습니다.

예산으로 잡았던 인테리어 비용보다

1~2번 업체에서 1000만원 정도의 차이가 있어 마지막으로 찾아본 방법이었습니다.

 

4. 월부 동료의 추천

만약 주변에 인테리어를 진행한 동료가 있다면 한 번 물어보세요~!

추천해줄만한 인테리어 업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만약 후보 업체를 10군데 선정하였다면 이 다음은 각 업체들에게 견적서 요청서를 보내어 견적을 받는 것인데요!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동일한 기준으로 견적을 요청드리는 것입니다.

고정값이 확정되어야 당연히 업체간 가격 비교가 쉽겠죠?!

 

견적서 요청 및 비교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견적을 요청드린다 함은

아파트 도면자료 포함, 정확한 수리범위 및 원하는 자재나 원하는 모델이 있을시 명시하여

메일로 혹은 카톡으로 전달드리는 것입니다.

 

파일로 정확히 인테리어 범위나 자재를 확정짓지 않고 러프하게

‘거실 확장할거고~ 화장실 2개 수리할거고요~’

하다보면 사람인지라 10군데에 전화하다보면 수리항목을 실수를 하고 빼먹는 과정이 생기고

저와 인테리어 업체간의 기대치가 달라 영 엉뚱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도면을 첨부하는 이유는 같은 20평대라도 다 같은 20평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90년대의 20평대는 2베이지만, 05년식 이후의 20평대는 광폭베란다 &3베이 구조로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20평대는 90년식 30평대와 견적이 거의 비슷한 범위로 나오게 됩니다.

 

20평대 2000만원에 하려했는데 왜 3000만원에 나왔죠?

이런 궁금한 부분들을 인테리어 사장님들과 사전에 유선으로 소통하고

명확한 수리범위 기준을 스스로 잡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프라인 현장 미팅 및 인테리어 업체 최종 결정

 

토탈 금액으로 10군데 업체 중 절대가 총 금액이 싼 곳들을 위주로 결과물 사진이 있는지 요청드립니다.

(블로그 방문, 카톡으로 인테리어 사진 공유 요청, 실제 사장님이 진행중인 인테리어 현장방문 등) 

 

그렇게 총 현장 미팅을 4-5곳 선정하여 타임을 나누어 약속을 잡았습니다.

반드시 수리할 현장을 보여주고 최종 수리 범위를 확정짓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같은 현장을 보고도 ‘이건 문틀 교체는 필요없어요~’

‘여기는 강마루라 단차가 커서 문터 제거가 쉽지 않아요~’

‘이 부분은 단열 작업이 필요 없어요~’

의견이 다른 부분이 생깁니다.

 

각 인테리어 업체의 말을 잘 기록해두고

다른 사장님들꼐도 교차 검증식으로 물어가며 다시 한 번 수리 범위를 조정 및 확정지어

최최최종 견적서를 요청드립니다.

 

또 나랑 의사소통이 잘 되는 편인지를 현장미팅을 통해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테리어라는 섬세한 작업을 함께 진행하는 파트너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방식, 스타일이 중요하겠죠 :)

 

가격이 어느정도 적정하다면 최저가 견적이 아니더라도

본인의 인테리어 실력에 프라이드와 양심을 갖고 일하는 느낌을 뿜뿜 뿜어내는 업체를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사장님께서 혹시 직접 시공하신 게 있으신지 한 번 여쭤보시면 좋습니다.

‘사장님 혹시 직접하시는 시공이 있으세요?’

타일 시공과 같이 인건비가 비싼 항목을 사장님께서 직접하시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댓글


빛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