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식객소녀입니다.
이번 1강을 통해 수도권 투자 기준과
다주택 투자자가 되기 위한 로드맵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던 강의였습니다.
경제적 자유 달성을 위해
투자를 하려고 하고
순자산 30억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 10년 이상의 보유를 해야 하는데
그 기준과 원칙이 있지 않다면
보유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10년이라는 시간을 제대로 보낼 수 있는
과정에 대해서 배워볼 수 있었습니다.
시장의 모습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 거래량, 매물량, 공급
과거 거래량을 통해 현재 시장이 어느 구간에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거래가 잘 되지 않는 구간에 있다면
매도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매수자 우위 시장에 있고
협상이 가능한 시기여서 좋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다!
매매, 전세 매물량을 통해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공급과 연결시켜서 봐야 한다.
수도권 아파트 가치
가격= 입지+상품 (입지(위치,빈땅 등)>상품)
교통이 중요!!
수도권은 땅의 가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입지가 가지는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은 저가치가 없기 때문에 어디에 투자해도
수익을 얻을 수는 있으나 같은 투자금으로 어디에
투자 하느냐에 따라 벌어 들일 수 있는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투자금으로 더 가치 있는 것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투자를 하려고 하다 보면
투자금에 맞는 물건을 찾거나 갭이 적은 것을 찾아
투자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투자금보다 입지와 가격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은 협상을 통해 투자금에 맞추려고 해본다.
투자금 1억으로 소액 투자 할 수 있는 곳은
수도권 외곽 투자이고 지방 물건과 비교해
더 저평가 된 아파트, 투자금이 적게 들고
유리한 조건일 경우에만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BM : 소액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투자 후보 대상 지역을 늘려
가치 대비 가격이 싼 것을 보는 안목을 키운다!
앞마당 시세트래킹을 통해 가격 흐름, 전세가율
주기적, 지속적을 확인한다(월 1회)
[시세트래킹 → 전수조사 →10개 단지 →최종 3개 → 매물확인 → 매물털기 → 협상→ 투자]
제일 좋은 단지 10개 선정 후 최종 3개로 줄인 후 투자를 진행한다.
협상을 통해 투자 대상을 만든다.
자산을 키우는 단계에서는
1. 잃지 않는 투자를 반복 → 기준에서 벗어나면 투자 X
2. 자산을 모아간다(리스크를 피함) → 자금에 적합한 투자 진행
3. 투자자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돈이 모이면 다음 투자 진행
→ 시간을 쏟는 다면 투자 성과는 3~4년차에 나옴
한 달 동안 실전반 수행을 위해서는
계획을 세우고 매일 할일 분량 만큼 해서
지치지 않게 시간 배분을 잘 해야 할 것 같다.
과정을 따라가면서 이토록
느리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실전반을 시작한지 며칠이 되지 않았는데
이전 기초반과는 다른 텐션과 속도로
따라가기 벅찰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잘 인지했기에 포기하지 않고
한 달을 잘 완수해보는 것이 목표이다.!!
댓글
식객소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