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안녕하십니까, 이훈팟입니다.
오늘은 서투기 2주차 양파링님 강의 후기를 남겨봅니다.
10년에 가까운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자로 경험하신 내용들을 쉽고 차분하게 나눠주셔서 집중도 잘되고 참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확실히 내가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다르듯이, 양파링님이 이번에 알려주신 내용들은 잘 정리하고 제 투자에도 적용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양파링님 스스로도 부동산투자자로 성과도 내시고, 현재 다양한 인사이트를 나눠주고 계십니다. 그런 분이 강의 마지막쯤에 진심으로 ‘여러분이 전력투구의 마음으로 부동산 투자에 임했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해주실때 마음에 와닿는 무언가가 있었습니다. 월부에 온 이유가 부동산 아파트 투자를 통해 경제적 안정을 얻고, 노후를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순자산 10억, 30억 등 평범하지 않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말 전력투구의 마음으로 부동산 투자에 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전력투구 : 야구에서, 투수가 타자를 상대로 모든 힘을 기울여서 공을 던지는 일)
2강을 들으면서 A지역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요. A지역은 앞마당이기도 해서 정말 몰입해서 알려주신 내용들을 흡수하고자 했습니다. 그 중에 A생활권에 설명해주실때, 도심과 가장 가까운 생활권으로 가치가 있다고 알려주셨는데요. 저도 사실 해당 생활권을 갔을때는 위치가 좋긴 한데, 주변 동네가 어수선하고, 아파트도 많지 않아서 그렇게 가치가 있는건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양파링님이 알려주신 내용은 해당 생활권이 서울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A지역 내 위치가 좋고, 역세권이며 연식이 좋아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선호하는 생활권에 대장단지와도 거의 가격이 엇비슷하게 흘러갑니다.
☆ 선호생활권 대장단지 (위치 아쉽) = 덜선호생활권 신축단지 (위치 굿)
위의 공식처럼 위치에 따라서 생활권의 선호도는 떨어져도 신축단지가 더 힘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처럼 땅의 가치가 뛰어난 곳은 위치!! 위치!에 대해서 더 비중을 두고 단지들을 찾아나가야겠습니다. 저는 딱 생활권 동네를 볼때 오호,, 근처에 빌라도 많고 좀 별로일 수 있겠다?라고 기존에 생각했지만, 이제는 그려 이 단지는 조금 주변이 아쉬울 수 있지만 위치가 어디야?! 여기 역세권에 일자리 접근성도 좋제? 그러면 여기도 가치가 있는겨~ 라고 스스로 가치판단을 더 정교하게 해야겠습니다.
● 적용할점 : 이 아파트가 위치한 땅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자. (역세권, 교통, 업무지구 접근성 등)
양파링님 2강 강의 내용 중에서 또 좋았던 부분이 아파트 단지 투자를 판단할때 가치와 가격, 그리고 리스트 3가지를 고려하는 투자법이었습니다. 단순히 좋다 안 좋다를 넘어서, 해당 단지의 가치 (위치, 직장접근성, 환경 학군)과 가격 (저평가 여부, 투자금) 그리고 리스크 (전세세팅, 잔금 등) 을 함께 고려해서 아파트 비교평가를 더욱 디테일하게 할 수 있겠습니다. 추후 아파트 단지투자를 고려할 때, 그리고 결론 파트에 해당 3단계 투자방법론을 꼭 적용해보아야겠습니다.
사실 아파트 부동산 투자라는 것이 매달매달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힘들게 모은 종잣돈을 활용하는 것이기에 알려주신 가치/가격/리스크 3단계 방법을 활용해 잃지 않는 투자, 더 나아가 더 벌 수 있는 투자를 할 수 있게 실력을 길러야곘습니다.
많은 투자선배분들이 말씀주시는게 어느 시기든 투자할 곳은 있다는 것입니다. 즉, 투자자(나)의 실력이 있다면 (실력 : 내가 투자할려는 시기에 가치 있고 저렴한 아파트를 알고 있고, 내 투자금으로 접근 가능한 것) 어떤 때, 어느 시기에도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앞마당을 꾸준히 늘려가고, 매달 아는 단지들을 추가하고, 더 좋은 단지에 대해서 비교평가해야하겠습니다. 이럴 때 가치와 가격, 리스크 3단계 투자법을 활용해서 더 뾰족한 선택을 해야겠습니다.
● 적용할점 : 아파트간 비교 평가시, 저환수원리 + 가치/가격/리스크 3단계 활용하기 (이번 결론부터)
댓글
이훈팟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