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서투기 2주차 강의 후기입니다.
강의 듣고 바로 썼어야 했는데 조금 지난 후기이지만
2주차 성북구 지역 강의를 들으면서 서울 4급지의 위상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작년 동대문을 앞마당 만들면서 서울 4급지를 들어가려고 할 때 필요한 투자금보다 더 벌어진 상황을 보면서 
서울 투자에 대한 조급함 또한 적잖이 생겼지만 그래도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일깨우고!

이번 강의에서 나온 내용은 서울경기 아파트를 비교평가하는 주제였는데요,
성북구 지역분석과 별개로 서울/경기의 지역별 위상을 알아보고 비교평가 프로세스를 다뤄주셨습니다

 


먼저 서울/경기 지역별 위상을 알기 위해선 평당 매매가격+랜드마크 단지 가격을 알아야 한다고 하셨는데
서울 구별 평당가와 경기 지역의 평당가를 붙여서 비교하고 비슷한 지역끼리 비교하며
더 깊게 들어가선 랜드마크 아파트의 천정 가격을 붙여보면서 비교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가격을 레이어하면서 가격감을 잡아가는 것의 중요성도 같이 배웠는데요
입좋신 / 입별신 / 입좋구 / 입별구 별로 생활권/연식별/평형별 가격감을 잡아가면서
다른 지역의 같은 입지라면/연식이라면/평형이라면 어떤게 더 싼지 비싼지를 알아볼 수 있는 과정이었습니다

입지 등급에서 크게 어느 지역을 비교할지를 정하고

그 안에서 어떤 단지를 비교평가 후보군으로 할지 정할 때
가격을 기억하면 어려움이 훨씬 줄어든다는 것!


그리고 비교평가 할 떄 알아야 할 기준

1) 가치 : 입지가치(위치, 접근성, 환경 학군) / 상품가치(연식, 브랜드) / 선호도
-> 임장, 임보 통해서 우선순위 정하기
2) 가격 : 현재 시장 기준으로 저평가된 단지(전고점 이하-비싸지 않은 것 / 전고대비 -20%이하 : 싼 것)
 ->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걸 사는 것이 현재 투자자가 해야 할 일!
 -> 현장 가격 파악하기(네이버 시세 X)
3) 리스크 : 전세세팅(조건, 공급)
 

정말 중요한 것은 가격과 리스크까지 포함해서 비교평가를 해야
투자할 때 A와 B 중 무엇이 더 나은지 판단할 수 있단걸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비교평가 프로세스를 거쳐서 배웠으니 

이번 단지분석 때 꼭 비교평가해서 우선순위를 가려 적용해봐야겠다는 생각으로!
얼른 단지분석을 하러 가야겠습니다. 

멋진 강의해주신 양파링님 감사합니다!!

 


댓글


꽁꽁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