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4기만하면 5르는 6월한달 2기는습관만들조 행복한자산가] 저환수원리 새기기

  • 25.06.07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지난 한 달, 서투기 강의를 들으면서 첫 임장, 임보를 마쳤습니다.

겨우 겨우 마침표를 찍고 나니, 이게 맞는건가? 그래서 난 뭐 한거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듣고 나니 한 달 동안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강의는 지난달 했던 임장과 임보의 장표들의 의미를 확인하고

큰 틀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투자는 가치 있는 것을 싸게 사서, 오랫동안 보유하며 비쌀 질 때까지 지켜내는 것!]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서 지켜야 할 것은 저환수원리]

저환수원리의 원칙은 변화지 않고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1. 저평가는 가치 있는것을 가치 보다 싸게 사는 것.
    1. 같은 가격이면 더 가치 있는것
    2. 비슷한 가격이면 더 좋은 것
    3. 많은 단지를 알 수록 비교평가를 통해 저평가를 더 잘할 수 있으니 임장+임보로 앞마당을 늘리기
    4. 애매한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입지/상품성에 따른 가치1-4, 가치없음 장표
      1. 가치1-3 : 싼경우 저평가
      2. 가치4-5 : 싼 경우 저가치 → 다른 곳을 하거나 그중에 제일 좋은 것 하기
  2. 환급성은 매도시점에 사람들이 좋아할 만 한것
    1. 단순히 저층, 탑층제외, 300세대 이상이 아님
    2. 입지/상품성(매도시기 연식도고려)에 따라서 투자계획, 매도계획을 설정하고 투자
      1. 가치1:장기보유
      2. 가치2:10년이상(수도권), 5년이상(지방)
      3. 가치3:5년이하
      4. 가치4:투자고려
    3. 환급성에 따른 매매가 변화 관찰 : 단순히 수익금만 보는 것이 아닌 수익까지 걸린 시간과, 내가 산 매매가 보다 높게 유지되는 기간까지 확인해보기
    4. 서울 : 입지>상품성, 20-30평대, 10평대도 상급지가능, 90년대 구축도 투자가능, 200세대이상, 상급지는 100세대 이상
  3. 수익성 : 보유한 투자금으로 충분한 수익을 낸다
    1. 가치&수요
    2. 투자금 줄이는데 집착 ㄴㄴ → 보유한 투자금
    3. 싼구간에서 사기
    4. 어떤게 더 싸지?/어떤게 투자금이 더 적게들지?/둘다 한다면 어떤게 더 좋지?
  4. 원금보존 : 전세가율이 높은 곳 & 원금 절대 지켜
    1. 가치&수요
    2. 전세가율높은곳
    3. 공급확인
    4. 갈아타기 적절한 곳이 있을 때만 매도, 아니면 갈아탈만한 곳을 찾거나 수익이 날 때까지 존버
  5. 리스크:리스크있다고 다 못하는 거 아니고 감당가능 하고 리스크보다 기대수익이 클 경우 투자
    1. 잔금/역전세 → 전세가를 욕심내지 않는다 & 대출 ㄴㄴ
    2. 역전세시 돌려줘야할 금액 + 투자금 = 가치가 있는지 확인, 이정도면 더 할만한 더 좋은 곳이 있는지 확인 후 투자결정

 

[투자까지 내가 해야 할 4가지 과정]

  1. 가치알기:임장+임보
  2. 투자기준:기준에 맞는 후보단지 뽑기(저환수원리)
  3. 가격조사:후보단지의 가격트래킹 → 시세트레킹으로 후보물건나오면 입지/상품성에 따른 가치 장표로 가치를 비교해보기
  4. 계약/매수:내가 가진 대안이 많아야 조급함 없이 협상이 가능하다 & 매물파기

 

[투자자의 통찰력을 길러주는 복기의 3단계]

 

[인생을 바꾸는 독서법]

 

[BM point]

  1. 저평가&환급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입지/상품성에 따른 가치와 매도계획표
  2. 시세트레킹툴로 단지 뽑아보고 가치장표로 가치 비교해보기
  3. 투자 후 통찰력을 길러주는 3단계 복기과정(훗날…)
  4. 독서 후 나의 문제에 가능한 적용점 & 실행방안 찾아보기

댓글


낙성이
25. 06. 07. 22:55

열심히 강의 들으신게 잘 느껴지네요 ㅎㅎ 자산가님 화이팅!

까만젤라
25. 06. 09. 11:18

행복이님! 3단계 복기의 날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할 수 있따!!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