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7월과 9월이 되면 어김없이 날아오는 재산세 고지서.
특히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올해는 세금이 얼마나 나올까?' 하는 걱정이 앞설 겁니다.
공시가격은 조금씩 오르고, 세율은 복잡하기만 하죠.
내가 낼 세금이 적정한지, 혹시 더 아낄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아파트 재산세'에 대해 정말 쉽게 풀어드릴게요.
1억짜리 아파트를 가진 사람과 10억짜리 아파트를 가진 사람의 세금 차이는 얼마나 날까요?
1세대 1주택자는 얼마나 세금을 덜 낼 수 있을까요?
이 글 하나로, 아파트 재산세 계산 방법부터 절세 팁, 납부 방법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재산세는 말 그대로 '재산을 보유한 대가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아파트, 단독주택, 토지, 상가 등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재산세 대상이 됩니다.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
이 날짜에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면 올해 재산세 납부 대상자가 되는 것이죠.
아파트가 포함된 '주택'의 경우, 재산세를 두 번 나눠 냅니다.
단, 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한 번에 전액 부과됩니다.
1세대 1주택자라면 '특례세율'이라는 제도를 통해 더 낮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단,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의 주택일 경우에만 해당돼요.
2주택 이상 보유자(다주택자)는 일반 세율이 적용되며,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세 부담도 커질 수 있습니다.
재산세 계산 공식: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가장 기본적인 재산세 계산은 이렇게 이뤄집니다.
여기서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일반적으로 60%지만, 1세대 1주택자에게는 낮은 비율(43~45%)이 적용됩니다.
1세대 1주택자 특례세율 적용 기준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아파트를 보유한 1세대 1주택자라면,
아래와 같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적용됩니다
또한 과세표준 구간별 세율도 기본 세율보다 낮은 특례세율이 적용돼 세금을 확 줄일 수 있어요.
과세표준 | 기본 세율 | 1세대 1주택 특례세율 |
---|---|---|
6천만 원 이하 | 0.10% | 0.05% |
6천만 초과~1.5억 이하 | 0.15% | 0.10% |
1.5억 초과~3억 이하 | 0.25% | 0.20% |
3억 초과 | 0.40% | 0.35%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과세표준 | 예상 세율 | 재산세(예상) |
1억 | 43% | 4,300만 원 | 0.05% | 약 21,500원 |
2억 | 43% | 8,600만 원 | 0.10% | 약 86,000원 |
3억 | 43% | 1억 2,900만 원 | 0.10%~0.15% | 약 15만~19만원 |
5억 | 44% | 2억 2,000만 원 | 0.15%~0.25% | 약 40만~55만원 |
10억 | 45% | 4억 5,000만 원 | 0.25%~0.4% | 약 110만~180만원 |
20억 | 45% | 9억 원 | 0.35%~0.4% | 약 315만~360만원 |
※표는 1세대 1주택자(공시가격 9억 원 이하) 특례를 기준으로, 실제 재산세 산정과 근접한 수치입니다.
다만, 10억·20억 구간의 경우 일부 금액에는 일반 비율이 적용될 수 있으니,
실제 납부액은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납부액은 지방자치단체 고지서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아파트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0시 기준으로 소유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납부 대상이 정해집니다.
이 기준일만 잘 활용해도 수십만 원의 세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 단 며칠 차이로, 매도인과 매수인 중 누가 세금을 낼지 바뀌는 것이죠.
실제 부동산 계약에서는 잔금일이 소유권 이전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등기보다도 잔금일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고, 그 기준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기도 합니다.
📝 Tip. 계약서 작성 전에 반드시 6월 1일 기준일을 확인하고,
잔금일이 세금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꼼꼼히 따져보세요.
작은 체크 한 번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
아파트 재산세는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만 알면 충분히 스스로 파악하고 절세할 수 있습니다.
내가 어떤 세율을 적용받는지, 과세표준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수십만 원을 절약할 수 있어요.
올해 내 재산세가 합리적인 수준인지 확인해보고,
혹시 모를 실수로 과세 대상이 되지 않도록 대비해두세요.
더 깊이 있는 절세 전략이 필요하다면?
👉 ★2025 대선 이후 개정 반영★ 1억 버는 부동산 절세 마스터 클래스에서
주택 수별 절세 시나리오와 실전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