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퇴직연금 의무화, 이제 '목돈' 퇴직금은 끝이라고? 현재 상황 총정리

  • 25.06.24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퇴직연금 제도 개편을 설명하는 정장 차림의 여성
퇴직금 중도인출해서 전세금에 보태야지!

 

직장 생활하면서

“퇴직금 중도인출해서 전세금에 보태야지"

라고 생각하셨던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이제 그 퇴직금,

더 이상 ‘한 번에 받는 목돈’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정부가 퇴직금 제도를 '퇴직연금'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는 방안을 꺼내 들었거든요.

 

게다가 3개월만 일해도 퇴직금을 받게 되는

제도 변화까지 포함되어 있다면?

 

지금부터 퇴직금 제도가 어떻게 바뀌는지,

누가 유리하고 어떤 논란이 있는지

본문에서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퇴직금 → 퇴직연금,

제도가 이렇게 바뀔지도 모릅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핵심 변화는 이거예요.

 

앞으로 퇴직금은 일시금 대신,

연금처럼 매달 나눠서 받는다.

 

즉, 기존의 ‘퇴사하면 목돈 수령’ 방식에서

‘노후에 매달 받는 퇴직연금’으로

전면 전환하는 겁니다.

 

왜 이렇게 바꾸려는 걸까요?

 

1) 노후 보장 강화

한 번에 받는 돈은 금방 사라지지만,

매달 받는 연금은 꾸준한 생활 자금이 되니까요.

 

2) 퇴직금 체불 방지

퇴직금은 회사 내부에서 적립하는 구조라

재정이 어려우면 못 받을 수도 있었어요.

반면, 퇴직연금은 반드시 금융기관(은행·증권사)에

적립해야 해서 안전성이 높습니다.

 

 

2. 퇴직연금, 모든 회사에 의무화?

단계별로 적용됩니다

 

이런 변화가 모든 사업장에 한 번에 적용되면

당연히 부담이 크겠죠.

그래서 정부는 기업 규모에 따라 5단계로 나눠서

순차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단계

기업 규모

도입 예정 방식

1단계

300인 이상 대기업

먼저 의무화

2단계

100~299인

점진 도입

3단계

30~99인

...

4단계

5~29인

...

5단계

5인 미만

가장 마지막

*참고 : 2023년 기준 퇴직연금 도입률

300인 이상 기업 : 91.7%

5~29인 사업장 : 41.4%

5인 미만 : 10.4%

 

또한 30인 이하 사업장이

자발적으로 도입하면 퇴직연금 부담금의 10%를

3년간 정부가 지원할 계획도 포함돼 있어요.

 

 

3. 퇴직연금,

3개월만 일해도 준다고요?

 

현재는 1년 이상 근무해야 퇴직금 발생이지만,

앞으론 3개월 이상 근무 시점부터

지급 대상으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 중이에요.

 

이게 통과되면

아르바이트생, 프리랜서, 단기 계약직까지

퇴직금 지급 대상자가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선 우려도 있는 만큼,

1) 인건비 부담 증가

2) 퇴직금 받고 이직하는 행태

법적·현실적 논의가 계속될 예정이에요.

 

 

4. 퇴직연금,

중간에 빼는 사람도 많다던데?

 

맞습니다.

 

사실 지금도 퇴직연금을 주택 자금, 의료비 등으로

중도 인출하는 사람이 많아요.

 

그래서 정부는 다음과 같은 유인책도

함께 검토 중입니다.

 

✓ 20년 이상 장기 가입 시 세제 혜택 제공

✓ 청년층에 특별 세액공제 부여

→ 중도 인출을 줄이고,

연금 수령으로 이어지게 하려는 목적이죠.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옵니다.

 

퇴직금 → 퇴직연금으로 일원화

일시금 → 연금화 (매달 나눠 받는 구조)

모든 사업장 의무화 ( 5단계 확대 도입)

3개월만 일해도 퇴직금 수급 가능성

연금 장기 유지 시 세제 혜택

 


분홍색 돼지 저금통과 우산을 쓴 노부부 피규어 - 노후 대비와 연금 저축을 상징하는 이미지
퇴직연금, '이 유형'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4천만 원까지 손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퇴직연금 개편 흐름과

핵심 내용 쫙 살펴봤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런 퇴직연금에도

DB형, DC형 등 여러 종류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유형별로 조건·수익률·운용 방식이 완전히 달라서,

'이 유형'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4천만 원까지 손해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나에게 맞는 퇴직연금 유형 고르는 법’

아래에서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퇴직연금, ‘이 유형’ 선택하면 4천 만원 손해봅니다


댓글


나는부자다user-level-chip
25. 07. 02. 09:07

언제부터 적용인가요? 회사에 DB 형 vs DC 형 뭘로할지 알려달라고 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