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제목 양식✍️
[바라산] 내집마련 챌린지 DAY 3 / 가장 좋은 집 골라보기 👑
구분 | 시 | 구 | 동 | 단지 | 매매호가 | 전세호가 | 실거래가 | 전고점 | 전저점 | 세대수 | 강남까지거리 | 가장 좋은 집 |
1 | 서율 | 동작구 | 사당동 | 경남아너스빌 | 81000 | 48000 | 80000 | 84000 | 74000 | 340 | 32 | |
2 | 서울 | 동작구 | 사당동 | 롯대캐슬 | 95000 | 6000 | 95000 | 95000 | 89000 | 969 | 32 | 1 |
3 | 서울 | 영등포구 | 대림동 | 코오롱 | 83000 | 45000 | 83000 | 92900 | 65500 | 481 | 36 | 2 |
4 | 서울 | 동작구 | 사당동 | 자이 | 86000 | 47000 | 87000 | 93000 | 74000 | 719 | 39 | |
5 | 서울 | 영등포구 | 문래동 | 삼환 | 84000 | 47000 | 84000 | 89000 | 78000 | 382 | 40 |
오늘 과제를 마치며 느낀 점을 적어주세요 ❤️
2일차에 고른 집과 3일차에 고른 집이 다르네요~
2일차는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을 우선으로 신축과 세대수를 먼저 고려했다면
3일차는 교통을 중심으로 작성하니 완전히 달라집니다. 강남접근성이 30분에서 50분으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지만 무시하고 접근했습니다.
교통을 30분 근처로 갭이 적으며 사용연한이 적은 것으로 정했습니다. 신축이라 그래프가 아직 형성이 안되어 있고 전고점 전저점의 수치가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또 실평수가 작다는 게 고민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전고점과 매매호가의 차이를 어떻게 고려해야하는지도 고민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