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그릿독서후기_그릿 점수가 높아졌어요!!![열중 45기 ㅇ1렇게 홧팅하면 강남3구 금방 가조 존경받는별1]

  • 25.06.28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절라 더크워스 /비지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 6. 28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5. 용어들이 생소한 것들이 많고 연구중심의 내용들이 있어서 그런지 읽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그러나 후반부로 갈수록 예시 위주로 되어 있어서 재미있게 읽음.

 

STEP2. 책에서 본 것

 

[4장. 당신의 그릿을 측정하라]

#열정 #끈기 #탁월성 #지속성 #최상위 목표

 

그릿 척도로 다시 검사해보면 점수가 다를 수 있다. 여러 근거로 볼 때 그릿은 변할 수 있는 특성이다. 그릿을 구성하는 두 요소는 열정과 끈기다. 열정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면 끈기 점수도 높을 것이다.

  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프로젝트 때문에 기존의 것에 소홀해진 적이 있다.
  2. 나는 실패해도 실망하지 않는다. 나는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3. 나는 한 가지 목표를 세워놓고 다른 목표를 추구한 적이 종종 있다.
  4. 나는 노력가다
  5. 나는 몇 개월 이상걸리는 일게 계속 집중하기 힘들다.
  6. 나는 뭐든 시작한 일은 반드시 끝낸다.
  7. 나의 관심사는 해마다 바뀐다.
  8. 나는 성실하다. 나는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9. 나는 어떤 아이디어나 프로젝트에 잠시 사로잡혔다가 얼마 후에 관심을 잃은 적이 있다.
  10. 나는 좌절을 딛고 중요한 도전에 성공한 적이 있다.

 

★ 24년 겨울 처음 열중을 했을 때 그릿을 처음 읽었다. 그리고 그때 그릿 척도 검사의 점수와 지금의 점수가 달라진 것을 보고 그릿이라는 것이 노력으로 높아질 수 있음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무려 10점 차이가 났다. 평균적으로 1점씩 높아진 것을 보면서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지만 그래도 한발 한발 내디뎌 가보자는 나의 의지와 매일의 원씽들을 달성하면서 이루어낸 결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12장. 강력한 그릿 문화의 힘]

 

훌륭한 팀이 훌륭한 선수를 만든다.

모든 사람이 새벽4시에 일어나서 연습을 하러 가는 곳에 들어오면 자신도 그렇게 하게 됩니다. 그게 별일 아닌 것 같고 습관이 되죠. 중략 나도 그렇게 자기 절제가 되는 사람이 아니거든요. 하지만 논문을 쓰고 강연을 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이니 따라가게 되더군요.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는 사람들 속에 둘러싸여 있으면 나도 그들을 따라 하게 돼요.

집단에 맞추려는 동조 욕구는 매우 강력하다.

내가 보기에 투지를 기르는 어려운 방법과 쉬운 방법이 있는 것 같아요. 어려운 방법은 혼자 투지를 기르는 거죠. 쉬운 방법은 인간의 기본 욕구인 동조 욕구를 활용하는 거고요. 투지가 강한 사람들 곁에 있으면 본인도 더 투지가 넘치게 행동하게 되거든요.(p.322~323)

 

그릿을 설명해주는 문화와 정체성

이 무덥고 지치는 여름날에 끝까지 게속할것인가, 혼자라면 5킬로미터만 뛰었을 거리를 팀원들과 함께 8킬로미터까지 뛸 것인가의 결정은 다은 어떤 요인보다 우리의 정체성에 의해 좌우될 때가 많다. 대체고 우리의 열정과 끈기는 여러 방안의 득실에 대한 냉정하고 계산적인 분석에서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우기가 스스로를 규정한 모습이 우리 힘의 원천이 된다.(p.324)

사실 열정과 끈기는 손익 계산이 맞지 않는다.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그렇다. 포기하고 다른 길을 찾는 것이 ‘타당할’ 때가 많다. 몇 년 뒤에야 투지의 결실을 거둘 수도 있다.(p.327)

 

★ 내가 나를 어떤 환경 속에 두어야 하는지 절실히 깨닫게 되는 부분이었다. 월부를 처음 시작할 때 조모임이 너무 두려워서 하지 않으려고 했고 줌형태의 온라인 조모임 자체도 너무 낯선 환경이어서 떨면서 했던 기억들이 생생하다. 그랬든 내가 그 환경 속에 나를 넣어두지 않았다면 그릿이 성장하는 일을 없었을 것이다. 나의 투지로는 한계가 있고 멀리 가기 위해서는 동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그릿이 달라질 수 있다는 그릿 척도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릿을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열정과 끈기가 필요하다는 것과 열정과 끈기는 개인이 어렵게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과 투지가 강한 사람들이 있는 그 환경에 나를 넣어둠으로써 자연스럽게 발전시킬 수 있는 쉬운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이다. 흥미롭고 목적이 뚜렷한 목표를 굳건히 지키는 것이다. 매일, 몇 주식, 몇 해식 도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것이다.(p.359)

 

이렇게 난 한 걸음씩 나아갈 것이고 목표를 지킬 것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나를 훌륭한 팀이 있는 환경 속에 넣어두기
  • 실패에 연연하지 말고 다음으로 갈 길을 생각하기
  •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하려는 어리석은 생각하지 말고 한 번에 한 걸음씩만 나아가자.
  • 어려운 과제에 도전하기(다시 구체적으로 정해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과 결합된 끈기였다.(p.29)

정말 실망했지만 그 일을 곱씹고 있지는 않았어요. 다음에 어떡해야 할지 거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p.43)

재능을 노력을 기울일 때 기술이 향상되는 속도를 말한다. 성취는 습득한 기술을 사용했을때의 결과물이다. 재능×노력=기술 기술×노력=성취(p.71)

인생이란 마라톤을 달릴 때는 노력이 대단히 중요하다.(p.78)

하위 목표를 달성하려는 이유는 단지 우리가 원하는 또 다른 목표를 얻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위로 갈수록 더욱 추상적이고 일반적이며 중요한 목표가 된다. 상위 목표일수록 그 자체가 목적이고, 하위 목표일수록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된다.(p.94~95)

우리는 필요할 때 변한다. 필요는 적응의 어머니다.(p.125)

기술이 향상될수록 발전 속도는 느려진다.(p.165)

의식적인 연습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발전이 없는 거예요(p.168)

의식적인 연습은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지만 몰입의 정의 자체가 노력이 필요없는 상태(p.178)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도와주려는 욕구가 생존율 또한 높여준다.(p.200)

아이들은 어른들의 말을 새겨듣는 법이 없지만 어른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데는 선수다.(p.244)

그들의 권위는 권력이 아니라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한다.(p.280)

당신은 비전을 세우는 순간 첫 발걸음을 뗀 것이다.(p.342)

‘항상 경쟁하라’는 말은 ‘자신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라, 최선을 다하라’는 뜻이다.(p.347)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이다. 흥미롭고 목적이 뚜렷한 목표를 굳건히 지키는 것이다. 매일, 몇 주식, 몇 해식 도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것이다.(p.359)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임장하는 뽀동
25. 06. 28. 22:56

별님 완독 하셨군요👍 그릿점수가 높아졌다고하시니 저도 미래가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