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제목: 그릿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앤절라 더크워스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06
4. 총점 (10점 만점): 8 / 10점
제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1장. 그릿, 성공의 필요조건]
#끈기 #노력 #성공
성은 타고난 재능보다 ‘포기하지 않고 얼마나 꾸준히 노력하는가’에 달렸다. 재능이 뛰어나지 않아도 묵묵히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노력은 재능을 이긴다.
[2장. 우리는 왜 재능에 현혹되는가?]
#재능 신화 #외적 평가
대다수는 영재, 다시 말해 재능을 타고난 사람을 동경한다. 재능을 타고 난다는 것은 부러움의 대상일 수는 있지만 사실 성공을 만드는 대자수의 사람은 수재 (노력형 인간)들이다.
[3장. 재능보다 두 배 중요한 노력]
#노력 #공식 #지속성
노력은 성취의 핵심 공식! 능력 × 노력 = 기술 / 기술 × 노력 = 성과. 노력은 두 번 기술을 만들고 성과를 만드는 과정에서 두 번 모두 필요하다. 그만큼 노력이 중요하다.
[4장. 당신의 그릿을 측정하라]
#끈기 #열정 #측정
그릿 열정 + 끈기로 측정해 볼 수 있다. 만약 점수가 낮더라고 실망하지는 말자. 그릿은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5장. 그릿의 성장]
#환경 #성장
그릿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흥미, 목적, 훈련, 희망 등의 요소들에 의해 강해진다.
제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내 안에서 그릿을 기르는 법
[6장. 관심사를 분명히 하라]
#흥미
흥미는 가만히 앉아 있는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다. 자꾸 시도를 하다 보면 그 속에서 재미(관심)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하면 된다.
[7장.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
#불편한 부분 #집중 #피드백 #반복
생각 없이 지속한다고 실력이 늘지 않는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불편한 부분’ 즉 잘못된 부분/습관을 수정/개선 해야한다. 집중, 피드백, 반복이 필요하다.
[8장. 높은 목적의식을 가져라]
#목적의식 #이타성 #동기
사회적 공헌(이타성)이라는 가치는 더 오랜 몰입을 도와준다. ‘나를 위한 열정’을 넘어 ‘우리를 위한 사명’이 더 강한 동기부여를 준다.
[9장.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을 품어라]
#낙관 #희망 #믿음
누구나 넘어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다시 일어서는 자세이다. 희망은 막연한 긍정이 아닌 스스로 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제3부 ‘내면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 아이들의 그릿을 키워주는 법
[10장. 그릿을 길러주는 양육방식]
#사람 #엄격
사랑만 있고 기대가 없으면 안 된다. 반면 너무 엄격하기만 해도 안 된다. 따뜻하지만 단호한 부모가 아이의 그릿을 키운다. 뜨거운 가슴과 차가운 머리로!
[11장. 그릿을 기르는 운동장]
#지속 #책임감
스포츠든 예술이든 어떤 활동에서 한 가지를 꾸준히 해보는 경험이 중요하다. ‘끝까지 해봤다’라는 스스로에 대한 책임감과 성취감의 기억은 아이의 내면을 단단하게 만든다.
[12장. 강력한 그릿 문화의 힘]
#소속 #문화 #환경
혼자서는 끈기 있게 하는 것이 어렵다. '우리(공동체)는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사회적 환경/문화 속에서 그릿은 자연스럽게 자란다.
[13장. 천재가 아닌 모든 이들에게]
#방향 #꾸준함
끈기 있다는 것이 모든 걸 참고 버텨야 한다는 강박으로 이어진다면 위험하다. 그릿은 무조건 버틴다는 의미가 아니다. 의미 있는 방향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다.
실패는 쓰리지만 포기의 이유가 되면 안된다. 다시 말해 실패는 과정일 뿐 끝이 아니다. 희망 잃지 않고 다시 시작하는 낙관적인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실패가 두렵고 겁난다. 그래서 안정적인 선택을 하고 많은 것을 포기한다. 그럴수록 성장은 점점 더뎌지고 성공은 멀어진다. 단 한번도 넘어지지 않으려고 한다면 평생 자전거는 탈 수 없을 것이다.
(p.174) “희망이란 ‘언젠가는 잘될 거야’라고 믿는 것이 아니라, ‘지금 다시 시작하자’는 의지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부루마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