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재테크 읽어주는 아빠 3탄 – 자본주의는 어떤 게임일까? (중학생 자녀에게)

  • 25.07.02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안)한가해보이입니다.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이제 본격적으로 '경제'에 대해 진지한 대화를 시작해야 할 시기입니다.

 

우리 아이는 지금 막 세상의 구조와 돈의 흐름에 눈뜨기 시작했어요.

오늘은 중학생 자녀에게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을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궁금함의 시작: 왜 부자는 더 부자가 될까?

 

“아빠, 부자들은 계속 돈이 많아지고, 우리는 왜 그대로예요?”

한 번쯤은 자녀가 이렇게 묻지 않았나요?

 

이런 질문은 세상에 대한 구조적인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신호입니다.

 

지금이 바로 ‘자본주의의 룰’을 알려줄 골든 타임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돈이 돈을 버는 구조,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말 그대로 ‘자본(돈)’이 주인공인(척하는) 세상입니다.

 

돈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지고, 더 많은 돈을 벌게 되는 구조.

이게 자본주의입니다.

 

자녀에게 이렇게 설명해 주세요.

 

“돈을 은행에 맡기면 이자가 붙고,”

“주식을 사면 배당금이 나오고,”

“부동산을 사면 월세가 들어오지.”

 

즉, 돈이 일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자본주의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출발점이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는 눈이에요.

 

 

자산 vs 부채, 복리란?



자녀가 헷갈리지 않도록 아래 표처럼 쉽게 설명해주세요.

용어예시
자산나에게 돈을 벌어주는 것월세 받는 집, 배당주는 주식
부채나에게 돈을 빼앗아가는 것신용카드 할부, 학자금 대출
복리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마법

(10% 이율이 발생할 때)

10,000원이 1년 후 11,000원, 다음엔 12,100원                        

그리고, 예를 들어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1만원을 은행에 넣으면, 1년 뒤 만천원이 돼.

그런데 그 다음 해에는 만천원이 아니라 만이천백원이 되는 거야.

이게 바로 복리야.

부자들은 이 구조를 잘 활용해서 더 부자가 되는 거야.”

 

 

돈의 흐름도를 통한 이해

 

아이에게 자본주의의 돈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세요.

 

 

위 흐름에서 아이가 소비를 줄이고 저축한 돈으로 투자를 하고 자산을 만들면,

그 자산이 다시 돈을 벌어주는 구조를 이해하게 됩니다.

 

 

실천 활동1. 가짜 부자 vs 진짜 부자 게임

 

중학생 자녀에게 '겉으로만 부자’ vs ‘속이 알찬 부자’를 구분할 수 있는 활동을 해보세요.

 

준비물은 간단하게 이 두개만 있으면 됩니다

 

종이 두 장 그리고 펜

 

먼저,

한 장에는 ‘겉만 번지르르한 소비형 부자’,

다른 한 장에는 ‘자산형 진짜 부자’ 캐릭터를 그려요.

 

그리고, 아래 예시처럼 특성을 나눠봅니다.

겉부자진짜 부자 
명품 옷중고차
최신 스마트폰

배당주 보유,

부동산 보유

무계획 쇼핑매달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

마지막으로 아이에게 이렇게 질문해 보세요.

 

“둘 중 누가 10년 뒤 더 부자가 될까?”

“너라면 누구처럼 되고 싶어?”

 

이 게임을 통해 자녀는 ‘겉이 아닌 내실’을 보게 됩니다.

 

 

실천 활동2. 내 자산 일기장 쓰기

 

자산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해보는 활동입니다.

 

먼저, 매주 자신이 받은 용돈, 저축한 금액을 일기로 기록합니다.

 

다음으로, 저축한 돈이 어떤 ‘자산’으로 바뀔 수 있을지 상상해보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목표를 세우고, 작은 투자 개념도 함께 익혀갑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하도록 해 보는 것입니다.

이번 주 용돈: 5,000원

썼던 것: 떡볶이 3,000원

남은 돈: 2,000원

목표: 한 달 모아서 만화책 사기 (자산은 아니지만, 나만의 투자!)

 

처음엔 단순한 소비기록이지만, 점점 ‘돈의 흐름과 선택’을 기록하는 습관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

 

 

자본주의는 게임이다. 룰을 익히면 유리해진다

 

아이에게 이렇게 이야기해 주세요.

 

“자본주의는 게임처럼 룰이 있어.

그 룰을 빨리 배우면 더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어.”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고,

돈이 일하는 구조를 이해하며,

복리를 일찍 경험하는 아이는 경제적으로 훨씬 강한 어른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억지로 강요하지 마시고,

놀이처럼, 대화처럼 자주 이야기 나눠주세요.

 

 

다음 편 예고

 

다음 4탄에서는 고등학생을 위한 ‘돈이 곧 시간이고 자유다’라는 개념을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주변 부모님들과 공유하시고,

우리 아이들에게 경제적 사고력이라는 선물을 함께 나눠보세요.

 

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

 

 

 

재테크 읽어주는 아빠 시리즈 다시 보기

 

1탄 - 돈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유치원에서 초등 저학년 자녀에게)

 

2탄 - 소비보다 중요한 게 있어요! (초등 고학년 자녀에게)


댓글


따스해user-level-chip
25. 07. 02. 15:39

멘토님 요 시리즈 넘넘 좋습니다💚 감사합니다아

ㅣ윤이나ㅣuser-level-chip
25. 07. 02. 15:40

멘토님 감사합니다♡

호야혜user-level-chip
25. 07. 02. 15:40

튜터님 시리즈 너무 좋아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