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개요))
도서: 그릿
저자: 앤절라 더크워스
독서일: 2025년 6월(재독)
의제 설정))
1.일독 후
그릿 = 열정 & 끈기 → 나는?
=> 글쓴이의 의도와 맥락은 알겠지만 그릿에 대한 의구심 잔존.
-결과 중심적 해석 아닌가. 성공 사례에 거꾸로 살 붙인 것 아닌가.
-성취도와 그릿의 상관관계에 개인별 특성 반영됐나.
환경, life history, 재능 영향 무시할 수 없다 정도로 퉁쳐서 말한다면,
그릿과 diligence의 차이는?
2.재독 후 +@ → 그릿의 + @ 찾기
그릿 = 열정 & 끈기의 시너지 for “장기적” 목표 → 포기하지 않고 오래도록 꾸준히 할 수 있는 힘 + @ → 나는?
주요 내용))
○ 성취
-성취한 사람들: resilience & diligence = 결단력 + 삶의 방향성(=원하는 바에 대한 매우 깊은 이해)
-성취 가능성 높이는 요소: GRIT, 사전 지식/경험, 지지자, 기초체력 등
○ 성취와 그릿의 상관관계 찾기 → 그릿 분석 → 실질 적용법
○ 성취공식: ((재능 * 노력 = 기술)* 노력) * 반복 = achievement
→ 노력>재능 =>노력 & 반복 중요
○ 그릿 = 나의 최대치를 끌어내는 것. 비교/경쟁X → 자신의 최대 능력 발휘O
○ 열정 & 끈기
1)열정
= “최상위 목표” 에 대한 꾸준한 관심(집착)을 가진, “우선순위 명확히 정할 수 있는 능력”
= 관심사를 “인생철학”과 맞물려 좁히는 과정
=> ★ 지속적인 목표 지향성 & 우선순위 위계화 능력 ★
2)끈기
= sprint X marathon O
= 절대 포기하지 않고 오래도록 지속하는 힘
= 실패해서 낙담해도 “오래” 주저앉지 않고 다시 일어나 계속하는 힘
○ 목표 설계
1)최상위목표:인생 지향점
2)중간 목표: 단계별 전략
3)하위 목표: 구체적 실행방안
→최상위 목표(잉크로 쓰기)를 향한 하위 목표(연필로 쓰기) 세분화 및 끊임없는 조정 & 개선 필수
○ 포기하지 않는 나 = 그릿 기르는 방법
1)관심 영역의 명확화: 단번에 못찾음. 환경/사람과의 상호작용으로 좁히고 좁히고 좁힌다.
열정의 대상 찾기: 무엇이 가장 견디기 힘든가!
→ 관심사 digging w/인내심 → 내가 집중할/흥미를 가질/인생의 방향키 찾기
2) ★ 의식적인 연습 = 질적으로 다른 연습 (더 노력 & 덜 재미)
의식적 연습 = ★ 반복 & 개선 ★ → 역량/능력 ↑
도전적 목표 설정 → 전체 중 ‘일부’에 집중 → 노력&연습 → 약점 feedback → 개선 → 난제 도전 → 반복 → ‘무의식적 자신감’ → 새로운 목표 → 반복
의식적 연습 vs 몰입
-의식적 연습은 ‘문제해결’ ‘피드백’ 有 = ‘행동’.
-몰입은 경험/느낌/재미의 요소 大.
→차이 있지만 상호 보완 및 상승 효과 관계.
연습의 습관화
-★실수’에 개의치 않고 ‘배움’에 몰두
-어려운 일 할때 일과로 만들어라
→루틴 만들기
3)목적의식의 확장: 하는 동안 내가 어떤 사람인지 깨닫게 됨
4)growth mindset: 성장형 사고 → 역경 → 낙관적 해석 → 도전(역경 극복하는 끈기)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 품기: 느낌X → 결심 O (개선에 대한 기대) w/책임
감정&행동의 유발원인
객관적 사건 자체X / 주관적 해석O = 부정적 자기 대화 유의! 자기충족적 부정예언 NO!
→ 긍정적 해석&반응 연습 = 포기X / 방법찾기O → 도전!
나는 안돼X → “아직”일뿐. 단순한 긍정X + 현실 직시 & 포기X
고통의 원인: 일시적, 특수성(구체적 개별 사건) O / 영구적, 전체적 X
-일시적: 통제가능O = ‘해결 가능성’에 방점 → 극복 동기 부여
-영구적: 통제가능X
인사이트 ))
이번에 다시 읽으면서 얻게 된 그릿의 +@는 무엇인가.
그릿 = 열정 & 끈기의 시너지 for 장기적인 목표. 포기하지 않고 오래도록 꾸준히 할 수 있는 근성의 곱씹기.
그냥 좋아함이 아님. 그냥 열심히가 아님. ‘의식’의 동반.
인생 지향점과 맞물린 관심사/목표을 좁혀가기 위해
장기 목표부터 우선순위, 실행안을 설정하는 능력과
실패할 때 포기하지 않는 긍정 마인드를 기반으로
오래도록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꾸준함.
그 과정에서 취약점을 인지하고 개선하고 노력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마라톤을 뛰기 위한 필수 요소.
+ 사람 & 환경의 중요성
★ 열정 = 걍 좋아함 X → 지속적 목표에 대한 조준 & 우선 순위 정하는 능력
내가 원하는 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목표를 향한 여정을 뾰족하게 하는 힘.
★ 의식적 연습 = 문제 해결의 관점 → 무엇을 개선할 것인가 (실수/실패에 집착X)
→ 노력 & 반복 w/긍정 마인드
실행방안))
1.목표 설정 & 위계화
(최상위 목표) → (상위 목표) → (중간 목표) → (하위 목표)
(30년) → (10년) → (5년 → 1년) → (3개월 → 1개월 → 1주일 → 1일)
2.의식적 연습: 목표 → 문제 해결 → 노력 → 개선 & 반복
1) 루틴 만들기: 어려운 일을 일과로 → 투자 분석(시세 확인 등) = 매일 30분 + @
2) 몰입 DAY 후 해당 주간 점검 (개선방안): 매주 일요일 저녁 → 개선 방안 도출 후 기록 → 차주 개선 정도 체크
3.마인드/환경/문화/정체성
-나부터 긍정 에너지 레벨 높일 것: 낙관적 해석의 선순환
-긍정 에너지 높은 환경 속으로: 지지자 확보/멘토 선정/같은 목표의 사람
-사람의 중요성: 자아 효능감의 원천은 사람. 잊지 말 것.
댓글
로사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