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 25기 JTS_쩍탄소년단_부동산꿈나무] 1강 후기

  • 25.07.04

 

 

안녕하세요 부동산꿈나무입니다:D

1강은 잔쟈니 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는데요,

중요하고 적용할 부분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지투반을 수강하고 남겨야 할 것

 

단지 선호도 파악

지방에서는 선호도가 곧 환금성

투자범위, 우선순위 설정

공급물량에 따른 매매, 전세 분위기 파악

 

 

 

#지금 지방이 기회인 이유

 

 

가격이 싸다

대부분 2-30% 떨어진 상태이고

현 매매가가 이전 전세가보다 더 낮은 상황

*가격이 쌀 수록*

좋은 단지와 좋지 않은 단지의

가격 격차가 줄어듦으로 

더 잘 보고 사야 함

 

투자금이 적게 든다

 

리스크가 적다

이미 전세가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리스크가 적다

 

 

 

#2025년 6월, 각 지역별 가격흐름은?

 

튜터님께서 가격을 보실 때

어떤 사고과정을 거치면서 보시는지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단순히 가격이 떨어졌네? 올라갔네?가 아니라

가격흐름과 전세 개수를 통해

시장 상황을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A지역 

#선호도 높은 신축, 구축 가격 반등

#선호도 중간 이하 정체

#전세 소멸, 전세가 상승 

 

 

B지역

#대장부터 매매, 전세 멈춘 상태

# 전세는 보수적으로 봐야함

#중간 신축은 가격 하락, 전세가 상승

#후순위 구축은 가격, 전세가 하락

 

 

C지역

#공급과잉

#신축도 가격이 빠지는 상황

#그 와중에 입지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구축 아파트

 

 

D지역

#선호도 상 신축~하 구축 모두 정체

 

 

E지역

#후순위 구축까지 매매, 전세 상승

#미래의 E지역이 어딜지?

#한 단계 올라간 가격이므로 적은 투자금으로 들어가야 함

 

 

투자할 것 같지 않은 구축도

제대로 임장하고 선호도 구분한다

가격의 추이, 개수를 파악한다

전임을 통해 현장감을 더한다

현장에서 물어보고 깎아보고 전세 대기자도 찾아본다

 

 

 

 

#소액투자라도 결국 방향은 가치성장투자

환경이 애매한 아파트의 투자 전략

지방 구축 아파트 투자 전략

외곽생활권 투자 전략에 대해

어떤 기준을 가지고 투자해야 하는지 

설명해주셨습니다.

 

지방에서는 공급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위 아파트를 매수할 때는

공급을 잘 보고 매수하는 것이 정말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현장에서

사람들이 이 단지를 돈 주고 사고 싶어할까

왜 이 단지에 살고 싶어할까

깊게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지방도시 선호도를 반영한 투자 우선순위

A지역의 선호도 떨어지는 구축, B지역의 선호도 높은 신축을 비교해주셨는데

A와 B지역의 체급차이가 많이 나서

어떤 곳을 골라야 할지 헷갈렸습니다.

 

지역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내가 지역 주민이라면 어디서 살고 싶을까?

내 집을 받아줄 실거주자 수요는 어디가 더 많을까?

를 고려해봐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에 대해 배웠습니다.

 

 

 

 

#확신의 투자의사결정과정 3단계 

 

 

저평가 찾기

같은 가격에 더 좋은 아파트는 없는가?

비슷한 가치에 더 싼 것은 없는가?

.

.

.

매매가 내림차순

투자금 보기

 

 

투자금 확인

 

-목표 매수가 설정

튜터님께서 목표매수가 설정할 때

가격이 좀 깎일 수 있는 상황인지,

호가대로 사야하는 상황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처음에는 깎일 매물이 많았지만

급매들이 다 빠진

아파트들이 생각나며 마음이 아팠지만^^;;

저를 반겨줄 또 다른 급매를 

알려주신 방법대로 찾아보겠습니다.

 

-목표 전세가 설정

전세 시세는 단지 선호도 파악이 중요!

해당 생활권의 선호도에 따른 전세가, 전세 개수 파악

전세가 없으면 살짝 높게 올렸다가

안 빠지면 바로 낮춘다.

 

매물검토할 때는

지도 위에 전세가, 전세 개수 올려보기

 

 

리스크 확인

 

현재 수도권 위주로 대출 규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지방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충분히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 전 꼼꼼하게 리스크를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나의 잔금범위 다시 확인해보기

 

 

 

적용해볼 것

1. 시세의 추이를 통해 시장 상황 분석해보기

2. 최종 투자할 매물을 뽑아 임보에 목표 전세가 올려보기

3. 나의 잔금 범위 재 확인하기

 

 

긴 시간 강의해주신 

쟌쟈니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부동산 꿈나무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