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알간입니다
지투 강의 첫 시작은 제작년 10월이었습니다.
이번에 대략 2년 후 강의를 다시 듣게 되었습니다.
처음 수강할 때는 다시 들어도 잘 모르겠는 부분이 많았으나 투자에 대한 용기와 열정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제 1호기 투자의 좋은 원동력이 되어준 강의였습니다.
이번에 다시 듣게 된 강의는 강사님이 설명해주는 템포에 맞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1주차 강의는 지투반에 맞게 지방이 주고 있는 기회와 지방 투자자의 투자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고, 지방 투자 큰 틀에서 가장 핵심인 것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쪼개서 설명해주셨습니다.
적용할점 1. 선호도와 현실감을 녹인 시세트래킹으로 경험치를 쌓는다. (실력과 경험치)
그동안 시세를 따거나 할 때 기계적으로 따고, 따고 난 후에는 물량의 변화나 가격의 변화만으로 판단했습니다.
강의에서는 “공급의 양 = 전세가의 흐름”이 틀릴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강의를 통해 공급이나 각 지역별 선호요소의 차이로 지방 시장 흐름은 모두 개별성을 가진다는 것 배웠습니다.
수요가 많은 수도권은 가수요로 매매가의 흐름 변화가 있지만, 수요가 적은 지방에서는 가수요가 없기 때문에 실수요의 움직임 전세가의 흐름 변화가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실수요가 움직일만한 요소 즉 선호도를 지방에서는 뾰족하게 판단을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방투자는 매도가 필연적이기 때문에 환금성이 중요합니다. 선호도 이는 곧 환금성과 이어지는 것입니다.
앞으로는 선호도를 뾰족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장과 임보를 질적으로 수준을 높여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투자에 더욱 직접적인 행위인 시세트래킹을 할 때 단순히 가격과 물량의 변화로만 판단하지 말고 전임을 통해서도 현장감을 녹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야겠습니다.
적용할점 2. 저/투/리 3단계로 올해 하반기에 2호기 투자를 한다. (매수)
투자의 핵심은 싸게 사는 것이며, 단순히 싸게 사는 것이 아닌 가치가 있는 것을 싸게 사는 것입니다. 월부 처음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계속 반복해서 들었던 변하지 않는 공식입니다.
매코를 통해 매수결정을 한다.
적용할점 3. 1호기는 감정대로 매도하지 말고 기준대로 매도한다.
중소도시 투자한 물건이 앞으로 공급이 3년 이상 진행이 되는 곳에 있습니다.
지금 감정대로라면 안오를 거고, 초보때 한 투자이기 때문에 부족한 단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잔쟈니 튜터님께서는 매도는 감정을 가지고 하는게 아니라 기준대로 해야한다는 것을 말씀해주셨습니다.
강의를 듣고 지금 현재 수익이 나지 않았기 때문에 팔지 않아야 하고 혹시나 수익이 안나서 손절을 한다고 해도 투자금이 소액을 들어있기 때문에 회수된 투자금으로 다음 투자를 하기 애매하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첫 투자 당시에는 실력이 부족했고, 부동산 매수의 경험치를 획득하고 싶었습니다.
보유를 해나가면서 1호기 투자 지역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의에서 공급이 많은 시장의 특징과 앞으로 벌어질 일들에 대해 충분히 들었기 때문에, 강의에서 해준 얘기를 그대로 투자지역에서 일어나는지 경험해보면 많은 경험치가 쌓일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지금 중요한 것은 언제 팔아도 내가 바꿀 수 있는 실력이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투실전반을 통해 투자자로서 부족했던 한계를 깨부수며 온전히 2호기를 더 좋은 실력으로 해나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120% 성취 계획을 가지고 계획대로 밀도있게 해내가야겠습니다.
그동안 이런 것은 개념적으로 배웠지 실제 사례를 통해 알려주는 강의는 지투실전반뿐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사례를 막힘없이 설명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인사아트가 누적이 되었을지 너무 존경스러웠습니다.
저도 쟌자니 튜터님처럼 많은 경험치를 가진 투자자가 되어 인사이트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긴 시간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부알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