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내마기 1강을 들으며 너무 후회가 되었습니다.
왜 이제서야 월부를 알게 된걸까? 좀 더 일찍 알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내집마련에 대해 너무나 무지했던 과거의 제 모습이 한없이 후회되기도 하지만 이제서라도 알게 되어 너무나 행운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혼 초 대출받아 구입할까 고민했던 집들의 가격이 이젠 넘사벽으로 오른 걸 보며 내게 내집마련이란 이제 불가능한 일이 아닐까 고민했었는데, 징검다리를 여러 번 건너 목표했던 드림하우스로 가면 된다는 너나위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집마련에 대한 희망이 샘솟았고, 설레는 맘으로 1강 강의들을 모두 들을 수 있었습니다.
집은 필수재와 투자재 2가지 특성을 모두 갖고 있기에 단기적으로 등락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니 싸게 사려다 못사는 선택을 하지 말고 비싸지 않게 사기, 분위기가 안좋은 뉴스가 나오더라도 거기에 휩쓸리지 말고 먼저 PIR(12.2 이하)과 전세가율(60 이상) 살펴보고 판단하기, 수도권에는 위치가 좋은 아파트로, 지방은 광역시의 신축아파트 단지가 몰려 있는 곳으로 보기, 금리 & 공급 & 기타환경(정책들)을 살펴보기 등…아직은 낯선 용어들과 강의를 통해 배운 내용들을 복습하고 정리하면서 1차 디딤돌로 삼을 매물 리스트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지방(광역시)에서 실거주 할 집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그동안은 제가 살고 있는 지역에 있는 아파트들만 눈여겨 보았었는데, 너나위님 말씀처럼 크게 3개 지역을 선정하고 그 안에서 최소 30개 단지를 선택하여 비교하고 가족과 발품을 팔아 임장도 가보려 합니다. 뇌피셜이 아니라 배우고 공부한 기준들로 비교 분석해서 제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집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댓글
반짝이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