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문화비 소득공제 받는법부터 확인 방법까지 (헬스장·수영장 포함 조건)

  • 25.07.07

책을 사고, 공연을 보고, 미술관에 가는

일상 속 문화생활이 세금 혜택으로 돌아오는 제도.
바로 ‘문화비 소득공제’입니다.

 

매년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놓치기 쉬운 항목 중 하나지만,

잘 챙기면 꽤 쏠쏠한 혜택이 돌아옵니다.

 

2025년 7월 1일부터 수영장·헬스장 시설 이용료 소득공제 시행 안내 포스터
출처: BIOTIMES

 

특히 2025년 7월부터는 운동 좋아하시는 분들께

반가운 변화도 생겼는데요.

이제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문화비 소득공제의 기준과 대상,

신청 방법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

 

문화비 소득공제란?

음료를 든 젊은 커플이 영화관 키오스크 앞에서 티켓을 발권하고 있는 모습

 

문화비 소득공제는 도서, 공연, 박물관·미술관 입장, 신문 구독료, 영화 관람 등
문화 소비에 대해 세금 혜택을 주는 제도인데요

총급여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가 해당 항목에 지출한 금액 중 일부를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공제한도는 연 300만 원, 공제율은 최대 30%입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2025년 7월부터는 ‘체육시설법’에 따라

신고된 헬스장·수영장도 이 범위에 포함되어
운동비도 문화소비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참고: 단, PT 등 맞춤형 강습비는 제외됩니다.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하나요?

헬스장에서 트레이너가 회원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돕는 모습
출처: 뉴스1

 

공제되는 소비 예시

  • 리디북스·예스24 등에서 책 구입
  • 인터파크·멜론티켓 등에서 공연 예매
  • 영화관 관람료
  •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 종이 신문 구독
  • 2025년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공공신고된 시설만)

 

적용되는 결제수단

  • 신용카드: 30% 공제
  •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선불카드: 30% 공제

리디캐시로 도서 결제한 경우도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다면 공제 가능하며,
문화상품권 역시 문화비 항목으로 분류되어 사용 내역에 따라 공제될 수 있습니다.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계산기와 지폐, 금화 더미로 표현한 소득공제와 세금 환급 개념의 3D 일러스트

 

아래 표는 결제수단에 따라 적용되는 공제율과 한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공제율공제 한도비고
일반 신용카드 사용15%300만 원일반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문화비 항목 아님)
문화비(책, 공연, 영화, 박물관, 미술관, 신문, 헬스장, 수영장 등)30%300만 원(전통시장, 대중교통 포함)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간편결제 모두 동일하게 30% 적용

 

신청 방법과 확인 시점은?

별도의 신청 없이도,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에게 결제하면 자동 반영됩니다.
결제 이후 국세청 홈택스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다음 해 1월 중순 이후 확인하실 수 있어요.🙂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 검색하기

 

무대에서 밴드와 함께 공연 중인 가수, 화려한 조명 아래 관객 앞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모습
출처: 경남도민일보

 

우리가 매달 꾸준히 이용하는 헬스장,
잠깐의 휴식을 위해 보는 공연,
지식을 쌓는 책 한 권.

이제는 이 모든 소비가 단순한 지출이 아닌
'연말정산 절세 전략'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 신청부터 생년별 요일제, 사용처까지》

또 다른 실생활에 바로 도움이 되는 정책,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수수진user-level-chip
25. 07. 07. 22:45

이번에 꼭 운동하겠습니다💙 좋은 글 늘 감사드립니다:)

해태방방user-level-chip
25. 07. 07. 23:31

우왕!! 운동등록하러가자!! 감사합니다!

호섭이user-level-chip
25. 07. 08. 00:02

마침 딱 헬스장을 다시 결제해야 하는 상황인데 너무 좋네요! 좋은 글 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