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30년에 파이어를 꿈꾸는
파이어고고입니다.
1강의 쟌쟈니 튜터님이
진행해주셨는데요.
하락장에서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강의해 주셨습니다.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지방 시장
첫번째 목차에서는
각 지역별 시장 분위기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는데요.
튜터님이 각 지역별 시장분위기를
어떻게 파악하는지 보여주셨는데요.
각 지역마다 선호도에 따라
트래킹 단지들을 선별하고
그 단지들을 전임하면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을
강의에서 알려주셨습니다.
그동안 시세루틴을 통해서
엑셀에 가격과 전세물량을 파악함으로써
지역별 시장 추이를 기록했는데,
항상 전임까지 이어지지 않고
거기에 그쳤던거 같습니다.
정확한 시장 분위기 파악을 위해서는
시세트래킹 이후에 전임까지 해야함을
강의를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1호기 매도를 앞둔 시기에
어떤 시장이 매도를 할 적정한 시기인지를
튜터님의 과거 투자 복기를 통해서
말씀해주셔서 좀 더 와 닿았고
욕심을 버리고 매도할 수 있을 때
매도하고 나와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B.M 지방 2호기 투자 물건 지역 후순위 거래상황 췍하기
투자 결정시 중요한 3가지
지방투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파악해야하고
임장을 통해서 알아야 할것은
선호도 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시
가치있으면서 싼지
투자금이 적게 드는지
리스크 헷지가 가능한지 등을
파악하는게 중요한데요.
즉 투자 결정지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저평가, 투자금, 리스크였습니다.
튜터님은 투자를 결정할 때
이 3가지 프로세스 순으로
투자 물건들을 추리셨는데요.
그동안 제가 해왔던 방법과 달리
이번 임보에는 1호기 매도 후
갈아탈 물건에 대해서
튜터님의 방식으로
이번에 TOP3를 뽑아보면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TOP3 결론내기 튜터님 방식대로하기
지방 투자 매도 기준
지방투자 실전반 수강하면서
이번에 처음으로 매도에 관련한 내용을
배울 수 있었는데요.
앞에서 매도를 고려할 시점을
후순위 단지들의 흐름을 보면서
잡아 볼 수 있다는 튜터님의 팁과 함께
지방물건을 매도할지
보유할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기준들을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매도를 판단하는건
어려운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도는 수익이 나거나
포트폴리오를 좋은것으로
바꿀 수 있을 때
리스크 대응이 안될 때
보통 생각을 하는데요.
현재 1호기 매도를 위해
부동산에 내놓은 상황에서
강의에서 나온 매도, 보유 기준에
부합해서 매도를 판단한 것인지
강의를 듣고 혼란스러웠습니다.
수익이 나서
갈아탈 단지가 있다는 전제하에
리스크 여부에 따른 판단기준에서
공급이 적정수준이거나 없는 경우
전세가가 높게 꼈을 때는 매도를 생각하고
전세가 낮게 낀 경우에는
보유 고려한다고 해주셨는데요.
오히려 전세가 낮게 낀 경우에
수익이 났다면 튀어나오는 금액이 많으니
더 매도를 고려해야하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생각한 것 달라
좀 혼란스러운 부분이긴 했습니다.
이부분은 강의를 다시 들어보면서
이해할 필요가 있는거 같습니다.
지방 투자 매수와 매도 전략을
튜터님의 경험담을 사례로 들어
오랜시간 강의해주신
잔쟈니 튜터님 감사합니다.
꼭 이번 임보에 갈아탈 단지
TOP3를 뽑을 때
튜터님의 프로세스를 적용해서
뽑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