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반스쿨 중급반 31기 42조 창식이 입니다.
중급반 강의를 들으면서 지금까지 놓치고 있던 점이 무엇일까 내가 채울 수 있는 부분이 뭐가 있을까 고민하고 답을 얻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나 제가 놓치고 있었던 부분이 굉장히 많이 있었습니다.
1) 가격 저평가에 대한 기준 2) 투자 시점에 대한 고민 3) 각 투자처별 선정 방법 4) 전고점, 전저점에 대한 고려 부족 등.
<가격에 대한 기준>
- 어느 정도 하락한 가격이 싼지? 다 떨어진 시장에서는 저평가 판단이 어려운데 물건 자체의 하락률로 판단 할 수 있다는 점이 새로웠습니다.
- 수도권/지방에서 싸다는 가격의 기준이 무엇인지? -> 각자의 특징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 매도의 기준 : 최소한 전고점 만큼 오를 때
<투자 시점에 대한 기준>
- 기회가 올 때 무작정 기다리는 것이 아닌 기회가 온 곳에 지방이든, 수도권이든 투자하면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또한, 각 투자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
- 매도 시점에 대해 크게 고민을 하지 않았는데 매도를 위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투자처별 선정 방법>
- 지방과 수도권의 가격 기준이 다름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지방은 높은 전세가율에 의해서 매매가를 끌어 올릴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해야 하므로, 70% 이상의 전세가율 + 입주물량이 적은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았습니다.
- 다만 지방을 선택할 경우 전세가의 상승은 한계가 있으므로 수익에 대한 욕심을 크게 내면 안된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 또한 입주물량이 굉장히 중요하므로 이를 꼼꼼히 체크해야 하며 단기간안에 들어가서 단기 매도를 할 경우에는 특히 유의해야 함을 알았습니다.
- 수도권은 높은 전세가율은 공통적(=결국 투자금이 적게 들어간다는 말과 같으므로)이며 저평가된 가격이 가장 중요하며, 저평가된 가격의 판단은 1) 전고점 대비 하락률 2) 같은 지역 내에서 저평가 되어있는가 3) 비슷한 평당가에서 저평가 되어 있는가가로 알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전고점, 전저점>
- 임보를 작성할 때 전고점, 전저점에 대한 고려가 상당히 부족 했었음을 깨달았습니다.
- 과거의 자료이니 현재만 중요하다고 확고히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 과거의 가격은 정답지에 가까우므로 매우 중요히 다뤄야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1강을 통해 여러 벤치마킹할 사항이 많이 발견되어 추후 작성할 임보에도 추가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