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한·계산법 총정리|2025년 세금, 언제까지 얼마나 내야 하나요?

  • 25.07.10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아파트 재산세 - “돈이 있으면 솔직히 하고 싶지 않은 거”라고 말하는 방송인 홍진경의 인터뷰 장면
출처 : KBS 한국방송

 

방송인 홍진경 씨가 이런 말을 했더라고요.

"돈이 주는 행복을 부끄러워하지 마라."

 

예전에는 돈, 돈 거리는 사람을

곱지 않게 보는 시선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는 이미 꽤나

‘돈이 우선인 삶’을 살고 있지 않나요?

 

외식하고 싶어도 도시락 싸서 출근하고,

휴가철에 해외여행 가고 싶어도 포기하고,

신축 살고 싶지만 한 푼이라도 더 모으려고 작은 구축에서 살면서요.

 

하지만 그건 단순히 돈이 인생의 전부여서가 아닌,

내 삶과 시간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준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만큼 돈이 ‘현실’이기 때문에 그런 거겠죠.

 

우리는 이제 ‘돈 이야기’를 피할 수만은 없는 시대를 살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일상 속에서 손해 보지 않기 위해서라도,
돈과 관련된 정보를 제때 잘 챙겨야 합니다.
 

그리고 7월,

지금 우리가 꼭 챙겨야 할 돈 이야기가 바로!

‘아파트 재산세’예요.

 

납부기한도 딱 정해져 있고,
모르고 지나가면 가산세까지 붙는 바로 그 세금!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2025년 아파트 재산세,

언제까지 얼마 내야 하는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놓치지 말고 꼭 확인해보세요!

 


 

1.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한은?

 

아파트 재산세는 지방세로,
매년 7월과 9월에 반씩 나눠서 납부하게 되어 있어요.

 

  • 1기분 납부기한 :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납부기한 : 9월 16일 ~ 9월 30일

     *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에 납부

 

기한을 넘기면?

  • 3% 가산세
  • 본세 30만 원 초과 시

    월 0.76%의 중가산금 (최대 60개월까지 추가)

     

즉, 재산세는 정해진 시기에

꼭 납부해야 손해를 막을 수 있는 세금입니다.

 


 

2. 아파트 재산세 부과 기준일은?

 

‘언제 소유했는가?’가 납부 의무를 결정합니다.
2025년 아파트 재산세의 기준일은 6월 1일이에요.

 

따라서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

재산세 납부 대상자가 됩니다.

 

만약 6월 1일에 매매 잔금을 주고받았다면?

만약 6월 1일에 잔금을 치렀다면 내가 내야 하고,
6월 2일에 거래를 마쳤다면 새 소유자가 내야 해요.

 


 

3. 아파트 재산세 계산기

 

아파트 재산세는 보통 아래 두 가지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1. 아파트 재산세 과세표준 계산법

  • 과세표준 = 공시가격 × 60%
    :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의 60%가 과세표준으로 적용돼요.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5억 원이라면 → 과세표준은 3억 원!

     

2. 아파트 재산세 세율 (누진세율 적용)

  • 주택은 0.1% ~ 0.4%의 4단계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구간

    적용 세율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 1억5천만 원

    0.15%

    1억5천만 ~ 3억 원

    0.25%

    3억 원 초과

    0.4%

  • 추가로 지방교육세 20%가 더해져 최종 재산세가 산정됩니다.
    (즉, 재산세의 20%만큼 추가 부담)

 

[추가 고려사항]

  • 1가구 1주택자는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일 경우

    세율 인하 및 감면이 적용돼요.

  • 다주택자는 감면 혜택 없이 일반세율이 적용되며,
    조정대상지역이라면 중과세율이 붙을 수도 있어요.

 


 

4. 아파트 재산세 조회 및 납부 방법

 

재산세 고지서는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거주지가 아닌 부동산 소유지 기준으로 봐야 해요.

  • 서울 : 이택스(ETAX)

    그 외 지역 : 위택스(WETAX)

     

납부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위택스·이택스에서 바로 납부
  • 무인 공과금기, ATM, 편의점
  • ARS 전화 (☎1544-9944)
  • 지방세 특성상 카드 수수료 없음

     *7월 16일부터 고지서 발송과 시스템 조회 가능

 


 

앞에서 언제까지, 어떻게 재산세를 내야 하는지
꼼꼼히 확인하셨죠?

 

출처 : 매일경제

 

이제 남은 질문은 딱 하나일 거예요.

 

그러면, 내 아파트는

재산세가 얼마 정도 나오는 건데요?

 

막연하게 ‘많이 나오겠지’, ‘줄이면 좋겠지’ 하는 감보다
금액대별로 대략 얼마가 나오는지
예상을 해두면 마음이 훨씬 편해집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공시가격 기준 2억 원부터 20억 원까지,
아파트 금액대별 재산세를
간단하게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아래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지금 바로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아파트 재산세 계산 방법 (2,3,5,10,20억 아파트 금액대별 세금)


댓글


쪼러쉬user-level-chip
25. 07. 10. 16:38

좋은 글 감사합니다 😃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7. 10. 16:38

재산세 납부 시점이 돌아왔군요~!! 감사합니다.

해바라기vuser-level-chip
25. 07. 10. 16:4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