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요즘 주택청약 공급은 늘어나고 있지만,
조건이 갈수록 까다로워지면서
‘내 집 마련’이란 말 자체가 참 멀게만 느껴집니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도 계속 줄고 있고,
월 납입 인정금액도 크게 올라
특히 청년들에게는 부담이 점점 커지는 게 현실이죠.
이런 변화 속에서
“과연 청약을 계속 준비하는 게 맞을까?”,
“통장은 유지해야 하나, 해지해도 되나?”
고민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하지만 지금처럼 힘든 시기일수록
제도와 혜택을 제대로 알고,
내 상황에 꼭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약통장 해지 시 불이익, 실전 입금 꿀팁,
그리고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특별공급 유형까지
내 집 마련에 꼭 필요한 핵심 정보만
콕 집어서 알려드릴게요.
포기하기 전에,
지금부터 하나씩 꼼꼼히 챙겨 보세요!
최근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3월에 잠깐 반등했다가 다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높아진 분양가, 낮은 당첨률,
끊임없이 바뀌는 제도까지...
많은 청년들이 주택 청약을 점점 더 멀게 느끼고,
실제로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신축 아파트 분양가는 계속 오르고,
당첨 가점 커트라인까지 높아지면서
“이젠 정말 내가 당첨될 수 있을까?” 하는
기대마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금액이
기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오르면서
2030 청년 세대의 부담이
한층 더 커졌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실제로 청약 당첨률이 한 자릿수에 머무르다 보니
무주택 청년들에겐 ‘내 집 마련’이
더욱 멀게만 느껴지는 현실이 됐죠.
하지만 이렇게 힘든 상황에서도,
청약통장은 절대 해지하지 말고
꼭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일까요?
청약통장은 한 번 해지하면 다시 가입해도
지금까지 쌓아온 가입 기간과
점수가 모두 처음부터 리셋됩니다.
이 말은, 내 집 마련을 향한 첫걸음을
또다시 맨 처음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돈이 부족할 때는 굳이
적은 금액이라도 입금하려 애쓰지 말고,
차라리 그 달은 건너뛴 후 나중에 돈이 생겼을 때
은행에서 회차별로 입금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중요 포인트!
25만 원을 초과해서 한 번에 입금해도
한 회차만 인정되기 때문에,
반드시 은행 창구에서
‘회차별 입금’으로 처리해달라고 요청하세요.
단, 이렇게 입금하면
실제 납입 인정일이 늦어질 수 있으니
정확한 인정 기준이나 처리 방식은
반드시 은행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많은 청년분들이
"통장 있어도 청년은 잘 당첨 안 되는 거 아니야?"
"과연 내 상황에 맞는 청약 혜택이 있을까?"
고민하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부터는
청년들을 위한 청약통장 종류, 특별공급 자격을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청년 주택드림 통장]
✓ 연소득5천만 원 미만
✓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대상
✓ 최대 4.5%의 우대금리 제공
✓ 가입 후 소득이 높아져도 자격은 계속 유지
해당 통장의 경우 청약에 당첨돼
계약금을 납부하려는 목적이라면
중도인출을 허용하는 상품입니다.
단, 이 경우 청약 기능은 사라지니 주의해야 하며
인출 이후에도 대출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통장을 해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저금리 대출 조건
: 가입 1년 이상 + 1천만 원 이상 납입
[생애최초 특별공급]
✓ 청약통장 가입 6개월 이상
✓ 청약 당첨 이력이 없어야 함
✓ 세대원 모두 주택 소유 이력이 없어야 함
✓ 5년 이상 근로 또는 사업 등 소득 활동 필요
[노부모부양 특별공급]
✓ 무주택 세대주
✓ 부모님 중 한 명이 만 65세 이상인 경우
✓ 3년 이상 계속해서 부모님을 부양한 경우
✓ 경쟁률이 낮아 당첨 확률이 높은 편
지금까지 청년들을 위한
청약통장 관리법부터 특별공급 혜택까지,
내 집 마련을 위한 꼭 필요한 정보들을
하나하나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좋은 전략도
실제 청약 일정을 놓치면 소용없겠죠?
그래서 이번에는 2025년 7월 3주차에
꼭 체크해야 할 청약 주요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다음 글에서 빠짐없이 확인하시고,
여러분께 꼭 맞는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지금 바로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댓글
해지하지 않고 주택 구매시에 돈만 인출할 수 있나요? 이때 아파트 가격제한이 있거나 그런부분이 있는지... 해지하고 싶지는 않은데 돈이 꽤 있어서 인출해야 할 상황이 생길 수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