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저는 아직 앞마당이 아주아주 적은 부동산 초보입니다.
저번주 토요일 분임을 다녀오고 나서 사진도 찍고 열심히 메모도 하고
어느 생활권이 가장 잘 되어있고 좋은지 까지는 익히고 왔지만
지방은 단지임장할 때 뭘 봐야하는건지 수도권과의 차이점은 도대체 뭔지 알 길이 없었어요.
그저 제일 잘 되어있는 생활권 + 신축 이면 될거라 생각했는데
제 지투기 앞마당인 창원은 길에 사람이 잘 안 다니고 생활권도 없는 외곽에도 신축 대단지가 있더라구요.
그럼 저 신축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건가? 수요가 있긴 한건가?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리고 분명 분임 가기 전에 학군을 알아볼 때 학업성취도가 높은 곳이었는데 학원가는 정말 미미한 걸 보고
‘이 생활권 학생들은 학원 안 가고 독학하거나 과외를 하나?’ 라고 끼워 맞추기 식 생각을 했습니다.
분임을 하고도 제대로 모르는 것 같고 시간 내어 지방까지 갔는데 성과가 없어 속상한 마음이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쟌쟈니 튜터님의 강의를 들으니 모든 궁금증, 의문이 싹 해결되었습니다.
제일 선호하는 생활권의 구축과 신축을 비교해서 말씀해주시고,
조금 선호도가 떨어지는 곳의 신축과 최고 선호 생활권의 구축에 대해서도 어떤 점이 가격을 결정하는지 설명해주시고,
외곽 신축은 어떤 점 때문에 좋아하는지도 설명해주셔서
'아, 지방은 이렇게 바라봐야 하는구나.'
'확실히 수도권과 관점이 다르다.'
는 것을 제대로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같은 조건이었을 때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붙여서 설명해주시니 훨씬 이해가 잘 되었고,
이제 단지 임장을 가게 될텐데 어떤 점을 눈여겨 봐야하는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쟌쟈니 튜터님 말씀처럼 지방에 한 채 투자 한다고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저희 조 이름처럼 튜터님께 배운 점을 활용해서
지방에 앞마당을 꾸준히 만들어 1호기 투자를 성공하고, 곧 수도권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방 임장하고 임장보고서 작성하는 법, 좀 더 오를 단지를 알아보는 법을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우리 성실러 콘님은 결실 만들어서 수도권 가실 날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거라 믿어 의심치 않아요 ㅎㅎㅎㅎㅎ 혼란할 수 밖에 없는 첫 지방 앞마당 만들기인데 배운대로 현장에서 잘 적용하면서 남은 시간도 같이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