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열반스쿨 기초반 68기 100조 웃어요24]

  • 23.12.17

2주차 강의는 다시 한 번 들어야 겠어요. 부동산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 아직 충분히 내면화하지못했어요.

투자 시 직장, 교통, 학군, 환경 등 고려하라고 하셨는데 지금 제가 살고 있는 지방의 경우 직장의 의미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서울의 강남이라고 할 곳이 좀 애매하기도 하구요.

청주의 경우 복대동 지웰시티로 봐야 하는 건지, 지웰시티는 백화점, 아울렛이 있어서 쇼핑에 있어서는 우위에 있고, 학군 역시 괜찮은 것 같아요. 그런데 직장이 많으냐. 그건 또 아닌 것 같거든요. 지웰시티보다는 테크노폴리스 쪽이 더 직장군에서는 우위이지만 아파트 가격면에서는 그렇지 못하거든요. 하긴 어느 한 요소가 결정적인 가격 결정의 요소는 아니니까요. 테크노폴리스의 경우 학군이 좋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요.

청주 같은 중소도시의 경우 도시 내의 이동에서도 별 문제가 없기때문에 직장, 교통에서 다소의 우위가 있는 곳이 있긴하지만 그게 또 절대적인 건 아닌 것 같기도 해서요. 강의를 다시 들으면서 이런 생각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해봐야 겠어요.

또한 앞의 이런 제 견해는 사실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경험에 따른 인식이라 좀 더 정확한 사실을 찾아봐야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직장의 경우 직장 수와 인원 등의 정보를 어디서 찾아볼 수 있는지, 학원의 갯수라든지, 특목고 진학 퍼센트 등을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등의 제대로 된 자료를 찾는 과정이 필요할 것같네요.

그리고 부동산 투자에 대해 꾸준히 준비하고, 실전 투입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해야만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나태한 내자신을 반성하게 되네요.

월부와 꾸준히 함께하는 10년을 기대합니다.



댓글


헤윰
23. 12. 19. 01:39

강의를 들으시면서, 거주지와 연관지어서 투자로 생각을 이어나가는 모습 멋지십니다!!! 짧게나마 답변을 드리자면, 부동산 투자의 기준이 있지만, 수도권은 직장+교통을 우선적으로 보는 게 맞고, 지방은 인구/환경/학군을 위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도권은 강남으로 출퇴근 사람들이 많지만, 그 주변은 집값이 비싸서, 강남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곳 위주로 수요가 몰리는 거구요,,, 지방은 자차로 가면 30분이내에 왠만한 직장은 갈 수 있기 때문에 더 살기 좋은 환경+학군 위주로 수요가 몰린다고 보시면 될 거같아요,, 예시로, 청주의 복대동이 1등인 이유는 환경 (백화점, 동네 커뮤니티)과 학군(학원가, 성취도 높은 중학교 위치)에 직장까지 가까워 이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모여 1등 생활권이 된거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