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꿈꾸는 감자 꿈포토 입니다.
저번달 열중 강의에서 처음 뵈었던 잔쟈니 튜터님
얼굴에 선함을 장착하시고 군더더기없는 강의, 너무 좋았습니다.
전체 강의가 다 BM천지지만,
지역 내 유효한 가치를 찾아내고, 그 바탕으로 단지 대 단지를 비교평가 해주시는 부분은
항상 이게 맞나? 하며 비교평가했던 제 지난날의 간지러운 부분이
시원하게 긁히는 느낌이라 이런 인사이트는 어떻게 가지게 되는 걸까?
진심 부러웠습니다.
저도 열심히 따라가겠습니당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투자범위와 투자전략을 결정한다.
1. 인구의 규모, 해당 지역의 발전 히스토리(나무위키, 호갱노노 등) , 지형적 특색, 소득, 생활권 분석, 입지분석 등을 통해 누가 사나? 살고 싶어하는 곳은 어디인가?를 파악
2. 인근에 있는 거점도시와 수치를 비교해보면 그 지역이 수준을 잘 파악할 수 있다.
3. 학군지의 정의 : 우수한 학교, 양질의 학원가, 부자 커뮤니티(저기 가서 아이를 키우고 싶다라는 욕심)
- 학군지 여부가 가격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학군선호지 내 선호구축VS 비학군지 내 신축)
4. 그 지역 상권의 특징 및 사람들이 제일 좋하는 환경적 요소는 무엇인가?
- 최근 5년간 최고가 단지(생활권별) 정리해서 묶어보자! 뭐가 보이는가?
5. 공급량과 미분양이 그 지역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 그 지역만의 특색을 파악해보도록 하자
- 공급이 없었아도 조선업 불황시기에 창원의 매매가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처럼
6. 부산,창원, 울산, 김해이 입주물량을 같이 파악하자
전고점 대비 매매가 시세를 체크한다
1. 생활권 별 랜드마크의 전고점 대비 매매가 수준을 파악한다.
2 생활권별 선호신축/선호구축,/가성비 구축 파악
3. 선호도가 높은 단지는 낀평형이라도 다 고려한다.
4. 가격이 같은 단지를 해당 생활권별 매칭해보고 투자 여부 비교해본다ㅣ
- 창원의 선호구축 VS 마산의 신축 어떤 게 투자로 좋을까?
- 구축 투자시 수리비, 생활권 내 전세개수 고려해서 투자
지역민이 좋아하는 결정적 입지요소 파악해보기
1. 각 생활권의 랜드마크 비교하기
2. 임장지역 단지 가격대별 단지 비교해보기
3. 사람들의 선호봄위를 좁고 뾰족하게 파악해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