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한국의 시대 제2차 대분기 경제 패권의 대이동 독서후기

  • 25.07.2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한국의 시간: 제2차 대분기 경제 패권의 대이동』김태유 김연배

저자 및 출판사 : 쌤앤파커스

읽은 날짜 : 7월 한달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산업혁명 #한강의기적 #4차산업혁명

 

1. 본 것 

  • 한국 경제성장의 특이성: 한국은 적자 수출 전략, 최저가 낙찰제, 정부 주도형 산업정책 등으로 전례 없는 고도성장을 이뤄낸 독특한 사례임
  • 산업혁명의 반복 패턴: 역사는 1차~4차 산업혁명을 거치며 기술 변화 → 산업 재편 → 패권 이동이라는 동일한 흐름을 반복함
  • 지식기반사회로의 이동: 물질(아톰) 중심의 사회에서 정보(비트) 중심 사회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닌 문명 전환임
  • 중진국 함정 현실화: 한국은 더 이상 '추격자' 전략으로는 성장하기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혁신을 주도할 준비가 부족한 상태임

 

2. 깨달은 것

  • 성공의 재현은 불가능하다: 과거의 성공 방식(수출 주도, 저임금 기반 제조업)은 이제는 더 이상 통하지 않음. 과거의 성공은 미래의 장애물이 될 수 있음
  • ‘가속 DNA’의 양면성: 한국인은 빠른 속도로 학습하고 따라잡는 능력은 탁월하지만, 선도적인 창조에는 약점을 드러냄. 이는 교육과 사회문화 시스템의 문제.
  • 정부·사회·외교의 삼각혁신 없이는 생존이 어렵다: 기술만이 아니라 제도, 문화, 외교 전략까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음.
  • 시간의 지배자가 돼야 한다: 변화는 예측하는 자가 아니라 ‘준비된 자’에게 기회를 준다. 빠른 적응력보다 전략적 방향성과 주도권이 더 중요함을 인식.

 

3. 적용할 점 

 1) 조직 차원

  • 정부·기업·대학 간 삼각 협력체계 필요: 수직적 구조 대신 유기적 협업 구조로 혁신을 도모해야 함.
  • 기존 규제의 해체와 재설계: 신기술 적용을 위해선 사후규제형으로 전환이 필요함 (예: AI, 바이오, 에너지 등).
  • 기술-인재-시장 선순환 구조 만들기: 기술 R&D → 실증 → 사업화 → 인재 양성의 순환을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함.

 2) 개인 차원

  • ‘선도자’ 마인드셋 전환: 더 이상 ‘따라가는 전략’은 통하지 않음.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능력이 중요.
  • 기술이 아닌 ‘문제해결력’ 중심의 학습: AI, 빅데이터 등 기술 습득 자체보다 그 기술로 무엇을 할 것인가에 집중.
  • 한국형 문제 해결 사례를 공유하고 리딩할 것: 글로벌 해법을 수입하는 대신, 한국만의 문제를 한국형 방식으로 풀어내고 세계에 확산시킬 전략이 필요.

 

▼5월 너나위 추천도서 바로 보러가기

 


댓글


따뜻한로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