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월급은 약 215만 원, 연봉은 2,588만 원
✔️ 실수령액은 약 195만 원선, 연봉 3천~1억까지 금액표로 정리
✔️ 식대·성과급 등 수당 구조와 주휴수당 포함 여부도 체크해야 정확
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면서, 월급과 연봉 기준선도 함께 올라갔습니다.
구분 | 시급 | 월급(209시간 기준) | 연봉(12개월 기준) |
---|---|---|---|
2025년 | 10,030원 | 2,096,270원 | 약 2,516만 원 |
2026년 | 10,320원 | 2,156,880원 | 약 2,588만 원 |
월급 기준으로 약 6만 원, 연봉 기준으로는 약 72만 원 상승한 수치입니다.
연도 | 시급 | 인상률 |
---|---|---|
2023년 | 9,620원 | +5.0% |
2024년 | 9,860원 | +2.5% |
2025년 | 10,030원 | +1.7% |
2026년 | 10,320원 | +2.9% |
2023년 이후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최근 물가 반영 수준의 인상으로 평가돼요!
보통 4대보험 공제율(약 9~11%)을 고려해 실수령액을 계산하는데요
아래는 2026년 기준 추정값입니다.
연봉 | 세전 월급 | 실수령 월급 (예상) |
---|---|---|
30,000,000원 | 2,500,000원 | 약 2,240,000원 |
40,000,000원 | 3,333,333원 | 약 2,960,000원 |
50,000,000원 | 4,166,667원 | 약 3,690,000원 |
60,000,000원 | 5,000,000원 | 약 4,410,000원 |
70,000,000원 | 5,833,333원 | 약 5,130,000원 |
80,000,000원 | 6,666,667원 | 약 5,830,000원 |
90,000,000원 | 7,500,000원 | 약 6,530,000원 |
100,000,000원 | 8,333,333원 | 약 7,200,000원 |
※ 실제 공제액은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 연말정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한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
👉 네이버에서 “실수령액 계산기” 검색해보세요!
월급 전부가 다 내 통장으로 들어오는 건 아니에요.
먼저, 4대 보험료가 자동으로 빠져나가요.
이렇게만 합쳐도 총 9.4% 정도가 공제됩니다.
그리고 연봉이 높거나 부양가족이 적다면, 세금(소득세·지방소득세)도 더 빠져나가죠.
예를 들어, 식대 10만 원이 비과세 수당이라면 이 돈은 세금 없이 그대로 통장에 들어옵니다.
2026년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겉보기엔 월급이 조금 늘어났지만,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여전히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어들었다고 느끼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고정비용은 그대로인데 체감상 여유는 커지지 않으니,
“이 연봉으로는 당분간 내 집 마련은 힘들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죠.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당장 큰돈이 없어도, 5천만 원 이하의 자금으로 시작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도 분명 존재합니다.
지금 가진 조건에서 어떤 선택지를 만들 수 있는지, 아래 글에서 하나씩 짚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