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꿈꾸는 감자 꿈포토 입니다.
언제나처럼 시원시원한 자모님의 강의!!'
너무 떠먹어 넣어주시는 느낌이라 이게 뭐지~ 했다가
아! 난 지금 투자금이 없는데…했었지만
자모님의 말씀처럼
전세가 정리될때까지 기다린다라는 관점보다 내투자금에 맞는 단지가 있다면 추려서 투자하자!
지금 당장 투자금이 없다면
미리 앞마당으로 해놓고, 투자가능한 단지를 리스트업해놓는게 중요하다라는 팁을 가져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역 내 사이클을 파악하는데는 공급물량이 아주 크다
1. 지역 내 투자 범위를 정하는 데는 각 지방의 공급물량 및 매매 전세가격의 흐름이 중요하다.
- 3년 내 광역시 중 A지역, B지역은 공급정리 / C지역은 공급과다이므로 우선순위 좀 떨어짐. D지역은 공급이 부족 하므로 투자할 경우 투자범위 확대
- 중소도시 중 a지역, b지역 공급 부족, 현재 b는 구축까지 모두 상승/ a지역은 신축, 준신축이 기회
2. 공급물량이 많아서 이미 바닥을 찍었던 시장은 앞으로의 전세가 정리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한다
- 돈 벌수 있는 지역 = 사람들의 수요가 있는 지역의 전세 수요가 탄탄한 단지를 리스트업하는 게 포인트!!
3. 공급물량이 많아지면 전세가는 본질적으로 떨어지고, 전세가가 떨어지면 매매가도 따라 내려간다.
4. 해당지역의 20-25년 평균 공급량을 체크하고, 지역내에서 커버가능한 공급량을 파악해두자
해당지역을 깊게 파보자. A 지역 구축이냐? B 지역 준신축이냐? 비교평가! 비교평가!
1. 비슷한 투자금이라면 해당 지역안의 다른 생활권의 가능 단지를 비교해보자
내가 앞으로 해야 할일 - 돈, 시간, 행동, 태도
1. 돈 : 꼭 필요한 것만 쓰되, 투자를 위해 투자해야 하는 부분은 쓴다.
2. 시간 : 임장 임보 중 부족한 부분에 더 투자하자. 덩어리 시간을 확보해보자
3. 행동 : 난 지금 당장은 더 이상의 투자금이 없다. 그렇다면 나는 앞마당을 늘리면서 투자 범위를 세워
내 투자가능 단지를 리스업하자
4. 태도 : 결국은 마음가짐/ 내가 부족하다면 무엇을 채워야하지? 라고 생각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