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줄 요약
목차
국민행복카드 발급처와 주의사항

물가도 오르고, 전기요금도 슬금슬금 올라가고...
요즘처럼 더운 여름엔 에어컨 한 번 켜는 것도 눈치가 보이죠.
특히 기초생활수급 가구나 어르신, 아이 있는 가정이라면
‘전기세 아끼자니 덥고, 틀자니 부담되고’ 참 애매할 거예요.
그래서 정부가 매년 여름·겨울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혜택이 크고, 사용법도 간단한 편이라
꼭꼭 챙겨두면 가계에 적잖은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조건부터
신청 방법, 사용처, 카드 발급 방법, 잔액 조회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에너지 바우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중,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경우 에너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다음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신규신청
① 방문 신청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 가능
② 직권 신청 : 직권 신청 담당 공무원이 전화 또는 대면 상담 등을 통해 구두 동의만 받아도 신청 가능
③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 신청
하절기는 전기요금만, 동절기는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중 1개 선택

국민행복카드를 선택한 경우, 바우처로 결제 가능한 사용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에너지바우처 공식 사이트의 잔액조회 서비스 활용하면 잔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예외사항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예외적으로 환급 받을 수 있어요.
카드사명 | 발급 방식 | 주요 발급처 | 문의 번호 |
|---|---|---|---|
BC카드 | 방문·전화 | 방문 : 우체국, NH농협, IBK기업은행, iM뱅크(구 대구은행), 부산·경남·우리·수협·제주·광주·하나은행, 신협은행 전화 : NH농협, iM뱅크, 경남·우리·하나은행 SC제일은행은 2022년 11월부터 신규 발급 중단 | 각 카드사별 콜센터 *일반 문의 1899-4651 |
롯데카드 | 방문·전화 | 롯데백화점 카드센터, 롯데카드 지점·홈페이지·앱 | 1899-4282 |
삼성카드 | 방문·전화 | 백화점(신세계) 고객센터, 삼성카드 지점·홈페이지·앱 | 1566-3336 |
KB국민카드 | 방문·전화 | KB국민은행, KB카드 지점, 전북은행, KB Pay앱, 국민카드 홈페이지, 전북은행 콜센터(1588-4477) | 1599-7900 |
신한카드 | 방문·전화 | 전국 신한은행 및 카드 지점, 신한카드 홈페이지, 신한카드 SOL Pay 앱, 신한 SOL Bank 앱, 신청전용ARS | 1544-8868 |
각 카드사별로 체크카드로 연결 가능한 은행 계좌가 다르며,
전화발급의 경우 해당 은행 계좌 보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부터 잔액 조회, 카드 발급과 사용처까지
실제 수급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살펴봤습니다.
생활비가 빠듯한 분들에게는
이런 공공지원 하나하나가 작지만 큰 숨통이 되어주죠.
그래서일까요.
비슷한 상황에 있는 분들 사이에선 또 하나의 궁금증이 자주 들립니다.
“집이 있거나 예금이 좀 있어도 혹시, 기초연금 받을 수 있을까?”
다음 글에서는 이 질문에 답해드립니다.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 자격과 재산 요건,
그리고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해드릴게요!👇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재산 기준 (집 있고 예금 있어도 받을 수 있을까?)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