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환급여부는? (국민행복카드 발급까지!)

25.07.31

3줄 요약

  • 에너지바우처는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여름·겨울 냉난방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요금 차감 또는 국민행복카드로 등유·전기·가스요금 등을 직접 결제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바우처 잔액은 성명·생년월일·주소 입력 후 조회 가능하며, 미사용 잔액은 환급되지 않고 소멸됩니다.

 

목차

  1. 에너지 바우처 혜택과 신청 방법
  2. 에너지 바우처 지급 방식 : 요금 차감 vs 카드 지급
  3.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및 환급여부
  4. 국민행복카드 발급처와 주의사항

     

  5.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물가도 오르고, 전기요금도 슬금슬금 올라가고...
요즘처럼 더운 여름엔 에어컨 한 번 켜는 것도 눈치가 보이죠.

 

특히 기초생활수급 가구나 어르신, 아이 있는 가정이라면
‘전기세 아끼자니 덥고, 틀자니 부담되고’ 참 애매할 거예요.

 

그래서 정부가 매년 여름·겨울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혜택이 크고, 사용법도 간단한 편이라
꼭꼭 챙겨두면 가계에 적잖은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조건부터

신청 방법, 사용처, 카드 발급 방법, 잔액 조회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1. 에너지 바우처 혜택과 신청 방법

에너지 바우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중,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경우 에너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지원 대상과 기본 혜택

지원 대상은 다음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소득 기준 : 신청일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이 확인된 세대
  • 세대원 특성 기준 : 장애인, 노인, 영유아, 임산부,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 한부모가족 등
    (세대 내에 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
  • 지원 금액은 계절별로 난방 또는 냉방 비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형태로 제공됩니다.

 

에너지 바우처 신청 방법

  1. 자동신청
    • 전년도 바우처 수급자, 세대 정보에 변동이 없는 경우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대상자에 포함
  2. 재신청
    • 바우처 수급 중 이사나 세대원 수 변동 등 정보가 변경되었다면,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해야 함
  3. 신규신청

    ① 방문 신청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 가능

    • 신청자 본인 또는 세대원/가족 대리인도 위임장을 통해 신청 가능

    ② 직권 신청 : 직권 신청 담당 공무원이 전화 또는 대면 상담 등을 통해 구두 동의만 받아도 신청 가능

    • 정보가 확인된 경우 대신 처리

    ③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 신청

    • 접수되면 담당 공무원이 행복이음 시스템을 통해 처리

2. 에너지 바우처 지급 방식 : 요금 차감 vs 카드 지급

 

전기·도시가스 요금 차감 방식

  • 신청 대상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을 주로 사용하는 가구
  • 사용 방법
    • 에너지 고지서 지참 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다음 달부터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
  • 주의 사항
    • 요금 차감은 2026년 5월 25일 이전 청구된 고지서에 한해 적용됨
    • 하절기는 전기요금만, 동절기는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중 1개 선택

       

국민행복카드로 직접 사용하는 방법

  • 신청 대상
    • 등유, LPG, 연탄 등을 주로 사용하는 가구
  • 사용 방법
    • 바우처 신청 후 국민행복카드 발급
    • 가맹점 방문 또는 전화·온라인·자동이체 결제로 사용 (에너지원 직접 구입)
  • 주의 사항
    • 사용 전 결제 방식 및 카드 종류 확인 필수 (한전·도시가스사마다 상이)

3.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및 환급방법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에너지 바우처 사용처 (국민행복카드 기준)

국민행복카드를 선택한 경우, 바우처로 결제 가능한 사용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 등유·LPG·연탄
    • 에너지바우처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
    • 배달료 포함 결제 가능
    • 사용 전 가까운 가맹점 확인 필수
  • 전기요금
    • 한국전력공사에 다음 방식으로 결제
      • 전화 결제 (국번 없이 123)
      • 방문 결제
      • 자동이체, 온라인 결제 등
  • 도시가스요금
    • 해당 도시가스사 영업소에서 다음 방식으로 결제
      • 전화(ARS) 결제
      • 방문결제
      • 온라인, 자동이체 등

 

잔액조회 및 환급여부

에너지바우처 공식 사이트의 잔액조회 서비스 활용하면 잔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입력 정보
    • 신청인 성명
    • 생년월일
    • 주소(시/도, 시/군/구, 읍/면/동)
  • 조회 유의사항
    • 모든 항목 입력해야 조회 가능
    • 조회 기준은 전일자 기준이며 실제 금액과 다를 수 있음
    • 에너지 바우처 사용 기간 중에만 잔액 조회 가능
  • 환급여부
    • 원칙적으로 바우처는 차감·사용 방식으로만 제공되며, 현금 환급은 불가
    • 미사용 잔액은 소멸되므로 기간 내 사용 필수
  • 예외사항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예외적으로 환급 받을 수 있어요.

    • 주거환경 또는 지리적 제약 : 카드 단말기 없는 가구, 사용처 부족 등
    • 행정착오·시스템 오류 : 정상 신청했는데 사용이 제한된 경우 등
    • 거동불편 또는 도서·산간 거주 : 외출이 어려워 바우처 사용이 현실적으로 힘든 경우

4. 국민행복카드 발급처와 주의사항

 

카드사별 발급처

카드사명

발급 방식

주요 발급처

문의 번호

BC카드

방문·전화

방문 : 우체국, NH농협, IBK기업은행, iM뱅크(구 대구은행),

부산·경남·우리·수협·제주·광주·하나은행, 신협은행

전화 : NH농협, iM뱅크, 경남·우리·하나은행

SC제일은행은 2022년 11월부터 신규 발급 중단

각 카드사별 콜센터

*일반 문의

1899-4651

롯데카드

방문·전화

롯데백화점 카드센터, 롯데카드 지점·홈페이지·앱

1899-4282

삼성카드

방문·전화

백화점(신세계) 고객센터, 삼성카드 지점·홈페이지·앱

1566-3336

KB국민카드

방문·전화

KB국민은행, KB카드 지점, 전북은행, KB Pay앱,

국민카드 홈페이지, 전북은행 콜센터(1588-4477)

1599-7900

신한카드

방문·전화

전국 신한은행 및 카드 지점, 신한카드 홈페이지,

신한카드 SOL Pay 앱, 신한 SOL Bank 앱, 신청전용ARS

1544-8868

각 카드사별로 체크카드로 연결 가능한 은행 계좌가 다르며,
전화발급의 경우 해당 은행 계좌 보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카드 사용 주의사항

  • 은행 창구 및 공과금수납기에서는 사용 불가
  • 반드시 본인 사용만 가능 (타인 사용 금지)
  • 사용 가능 가맹점·결제 방식 확인 필수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지금까지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부터 잔액 조회, 카드 발급과 사용처까지
실제 수급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살펴봤습니다.

 

생활비가 빠듯한 분들에게는

이런 공공지원 하나하나가 작지만 큰 숨통이 되어주죠.

 

그래서일까요.
비슷한 상황에 있는 분들 사이에선 또 하나의 궁금증이 자주 들립니다.
“집이 있거나 예금이 좀 있어도 혹시, 기초연금 받을 수 있을까?” 

 

다음 글에서는 이 질문에 답해드립니다.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 자격과 재산 요건,
그리고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해드릴게요!👇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재산 기준 (집 있고 예금 있어도 받을 수 있을까?)

 

사진 출처 : 위키트리, 정책브리핑, 일렉트릭파워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